통계청장 경질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26일 황수경 통계청장을 면직하고 강신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보장연구실장을 후임 청장으로 임명했다.
전임 통계청장들은 대체로 2년 이상 임기를 마친 데 비해 황 청장은 통계청장이 된 지 13개월 밖에 안 돼 경질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준석 바른미래당 후보는 페이스북을 통해 “가계소득 통계가 마음에 안들면 통계청장을 경질하면 된다는 발상은 누가한 것인지 모르겠다”며 “이 판단을 한 순간 앞으로 통계청에서 좋게 나오는 통계들이 있다면 누가 믿을 수 있겠느냐”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이명박 대통령 때 물가 집중관리 품목 잡아서 관리하다가 오히려 수치가 악화되어서 욕을 먹었지만 그렇다고 통계 만든 사람에게 책임을 지우지는 않았다”며 이전 정권과 문제를 비교해 지적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 지지도 하락이 이어지면서 통계청 가계동향 조사 내용 발표 자료가 최근 연속 이슈가 됐다. 5월 발표된 가계동향조사에서 청와대의 기대와 달리 저소득층의 소득이 감소하고, 저소득층과 고소득층간 소득격차도 더 커졌다. 통계청의 7월 고용동향에서 취업자수는 전년 동월 대비 5000명만 증가해 ‘고용참사’ 논란이 불거졌다.
이 같은 조사결과 내용에 대해 청와대 내부에서 “통계청이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적극적 역할이 부족하다”며 논란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강 신임 청장은 청와대와 이 대목에서 코드가 맞는 인물이다. 그는 보건사회연구원 소득보장정책연구실장으로 있던 지난 5월 청와대 지시를 받아 통계청 가계소득 동향 자료를 분석해 청와대에 제출한 인물이다.
당시 1분기 소득분배가 크게 악화된 통계가 나오자 김동연 경제부총리가 최저임금 인상 속도 조절론을 제기했다. 청와대 경제팀이 임의적으로 분석한 자료를 내놓았다는 그것을 강 신임 청장이 분석한 자료였던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그가 가져온 자료를 갖고 "최저임금 인상의 긍정적 효과가 90%"라며 국민에게 홍보했다.
객관적인 통계 산출을 강조해온 전임 황 청장은 한국노동연구원 출신이다. 한국노동연구원은 노동 통계에 있어 자타가 공인하는 국내 최고 연구기관 중 한 곳이다. 더구나 그는 호남 출신이다.
지역 안배를 포함해 통계의 신뢰성 유지 등 인사의 적재적소를 고려한다면 황 청장의 경질은 부적절하다. 통계청 내부에서도 우려가 높다. 향후 통계청 발표 통계자료가 신뢰를 잃을 가능성 때문이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따뜻하고 바른 사회를 위한 불편부당 시대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