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책임당원의 절반이 대구·경북(TK)과 부산·울산·경남(PK) 지역에 몰려 있다. 전당대회 투표 반영 비율은 ‘책임당원 70%+일반국민 30%’이다. 영남표심이 2·27 전당대회 당락의 최대변수인 것이다.
이런 구조적인 문제로 대중 지지율이 높고 보수행보를 걷는 황교안 전 총리와 홍준표 전 대표가 유리한 구도다.
사진=리얼미터
31일 한국당에 따르면 1월 현재 전체 책임당원 수는 약 32만7000여 명인데 권역별로는 영남권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TK 지역의 책임당원 수는 9만3000여 명으로 전체의 약 28%를 차지했다. 또 PK 및 제주 지역도 7만2000여 명(약 22%)을 기록해 영남권 책임당원 수는 전체의 절반가량 된다.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은 10만5000여 명으로 약 32%를 차지할 뿐이고 충청·호남권은 4만2000여 명(약 13%)으로 빈약하다.
서울출신이자 보수개혁파인 오세훈 전 서울시장에겐 구조적으로 불리하다. 그래서 그가 요구하는 것은 세 대결보다 정책과 리더십 검증 대결이다. TV 토론회를 더 많이 가져 상호 검증 기회를 갖자는 것이다. 불리한 후보가 흔히 이렇게 요구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오세훈의 요구가 막무가내는 아니다. 현재 비대위에서 논의한 합동연설회는 총 4차례에 걸쳐 진행되는 반면 TV토론은 2차례에 불과하다. 토론회가 너무 적다.
특히 황 전 총리는 정치신인이다. 개인과 정책에 대해 검증된 게 거의 없다. 한국당의 큰 정치인으로 성장하려면 이번 기회에 혹독한 검증과정을 거쳐야 한다. 후보들이 살아온 과정, 국가관과 추구하는 이념과 노선, 정책에 대한 입장과 이해력, 정치적 해결 능력 등에 대해 검증받아야 한다.
TV토론을 4~5차례로 늘려야 대안정당을 추구하는 정당답다. 이는 미래지향적 정책정당으로 가자는 발전적 요구이지 특정인의 유불리와 무관하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 너머 이슈를 보는 춘추필법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