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서 합의한 서해완충 구역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남쪽이 일방적으로 양보한 데 대해 ‘NLL 포기 논란’ 등을 우려해 거짓말을 한 의혹이 불거졌다.
남북이 합의한 '해상 적대행위 중단구역' 중 서해 구간의 길이가 당초 발표한 80㎞(40-40)가 아니라 남측이 35km 더 양보한 135km(50-85)로 밝혀졌다.
해상적대행위 중단 구역. 사진=조선일보
이와 관련해 국방부가 ‘당초 135km인 것을 알고 있었고 청와대에도 그렇게 보고했다’는 취지로 20일 해명했다고 조선일보가 보도했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국방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서해북방한계선(NLL) 가장 남단지역에서 덕적도를 잇는 직선이 약 30㎞, NLL 제일 북쪽지역에서 초도를 잇는 직선이 약 50㎞여서 80㎞라고 설명한 것"이라며 "해설 자료에선 서해 구간을 한 선으로 긋고 80㎞라고 표시했는데, 사실은 중간에 끊어져 있는 것"이라고 했다. 이 당국자는 '최종건 청와대 평화군비통제비서관이 평양서 한 기자브리핑에서 북측 40㎞, 우리 40㎞라고 왜 말했느냐'는 기자 질문에 "개인적인 느낌이지만 추석 연휴가 내일 모레부터 시작되는데 NLL포기로 연결해 (국민이) 우려하실 것 같아 그 설명과정에서 나온 것 같다"고 했다.
그는 "최 비서관에게는 언론에 배포한 해설자료와 동일한 것으로 보고했다"고 했다. 최 비서관이 서해완충 구역이 40-40km가 아니라 불균형하게 만들어진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다는 뜻이다.
해병대 K-9 자주포. 사진=유용원군사블로그
서해 완충수역이 설정되면 서북도서에서 해병대 K-9 사격 훈련도 육지로 나와서 해야 한다. 이와 관련 '해군의 지형지물을 이용한 훈련이 중요하지 않냐'는 질문에 대해 "현지에서 실사격을 제외한 나머지 훈련은 다 한다"며 "해군의 해상 훈련은 지형지물 따라 훈련하지 않는다. 바다라는 공간에서의 기동훈련이고 지형지물과는 관계없다"고 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따뜻하고 바른 사회를 위한 불편부당 시대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