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증을 맨손으로 만지는 것만으로도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A'(BPA)의 체내 농도가 2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비스페놀A는 인체에 들어가면 내분비 시스템을 교란하는 환경호르몬 중 하나다. 체중 60㎏인 성인의 BPA 하루 섭취 허용량은 3㎎ 정도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최경호 교수팀은 마트에서 일한 지 평균 11년 된 중년 여성 계산원 54명을 대상으로 영수증(감열지) 취급에 따른 소변 내 비스페놀A 농도를 측정한 결과 이같은 결과가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마트 계산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지만 소비자들도 일상생활에서 영수증 노출이 적지 않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야한다고 했다.
연구팀은 조사 대상 계산원들이 장갑을 끼지 않은 채 이틀 연속으로 영수증을 취급했을 때와 같은 기간 장갑을 끼고 영수증을 취급했을 때의 BPA 소변농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맨손으로 영수증을 취급했을 때의 소변 중 BPA 농도(ng/㎖)는 0.92로 업무 전의 0.45보다 2.04배 수준으로 상승했다. 반면 장갑을 끼고 일했을 때의 BPA 농도는 업무 전 0.51, 업무 후 0.47로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영수증에 노출된 BPA 농도가 높은 계산원은 공복 인슐린 수치와 인슐린 저항성이 함께 높아진 것이다.
로션을 바른 손으로 영수증을 만지면 흡수가 더 잘 되거나, 손을 통해 비스페놀 성분이 흡수되면 체내에 더 오래 잔류한다는 등의 해외 연구결과가 나온 바도 있다.
일부 업체가 BPA 성분을 대체하는 BPS 영수증을 사용하지만 BPA가 아니더라도 비스페놀 계열의 영수증은 비슷한 수준의 위해성이 검출된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최경호 교수는 “영수증을 직업적으로 취급하는 계산원이 장갑만 착용해도 BPA 노출을 거의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요즘은 스마트폰이 영수증을 대체하는 추세인 만큼 가급적이면 물건을 산 다음에 종이 영수증을 받지 말고, 불가피하게 받더라도 바로 폐기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영수증 발급이 꼭 필요하지 않을 경우 아예 영수증을 출력하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여 종이 물자도 절약하고 환경 호르몬으로부터 건강도 지키는 것이 어떨까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친화적 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