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이낙연 국무총리가 문정인 대통령 외교안보특보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발언을 했다. 16일 국회에서 "'그분(문 특보)이 자유인으로 사신 기간이 좀 길었구나'라고 생각한다"고 답변 한 것. 자유한국당 백승주 의원이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위회의에서 "특보가 장관한테 지시했다고 그러는데 정부조직법상 가능하냐"고 따져 물었고, 이 총리가 "전제를 하고 말씀드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지만 '그분이 자유인으로 사신 기간이 좀 길었구나'라고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 문정인 대통령외교안보특보.


이날 논란도 문 특보가 자초했다. 그는 앞서 강연에서 “송영무 국방 장관이 브룩스 사령관에게 이번 맥스 선더 훈련에서 B-52의 전개를 못 하게 조치했다”고 말해 논란이 일었다.

문 특보 발언과 달리 미 국방부는 한미연합공중훈련 '맥스선더'에 전략폭격기 B-52가 참여할 계획이 처음부터 없었다고 말했다. 북한의 비난이 나온 이후 한국 정부의 요청에 의해 훈련에서 제외한 게 아니라 아예 참여 계획 자체가 없었다는 이야기이다.
크리스토퍼 로건 국방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대변인은 16일(현지시간) 한국 측이 미국에 B-52를 한반도에 전개하지 않도록 요청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한 미국의소리(VOA) 논평 요청에 "B-52는 맥스선더에 참여하는 계획이 전혀 없었다(were never scheduled to be a part of Max Thunder)"고 말했다. 또  "훈련의 성격과 범위에 대한 어떤 변화에 대해서도 인지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문 특보는 16일 송영무 국방장관과 오찬을 같이 했다. 이어 국회의원회관에서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개최한 포럼에 참석해 “B-52 전략폭격기는 아직 전개 안 됐고 내일부터 할 건데, 송영무 국방부 장관이 (빈센트 브룩스 주한미군사령관을 만나) 맥스선더에 미군 전략폭격기 B-52를 (전개가) 안 되게 얘기했다”고 밝힌 바 있다.


▲ B-52전략폭격기.


우리 국방부 역시 문 특보의 발언을 부인한 바 있다. 국방부는 지난 16일 송 장관과 문 특보가 오찬을 가졌지만, 송 장관은 이 자리에서 B-52 훈련 참가에 대해 ‘맥스선더 훈련은 전투조종사 기량 향상을 위한 훈련이기 때문에 B-52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고 밝혔다.

B-52 전략폭격기는 최대 항속거리가 1만6000㎞에 달한고, 최대 32t의 폭탄을 싣고도 6400㎞ 이상의 거리를 날아가 재급유 없이 폭격이 가능한 전략 무기다. 북한은 한·미 연합 훈련 시 B-52의 동향에 민감하게 반응해 왔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6일 "미제침략군과 남조선 공군 주관 하에 B-52 건략 핵폭격기와 F-22 스텔스전투기를 포함한 100여대의 각종 전투기가 동원된다"고 비난하면서 이날로 예정됐던 남북 고위급회담을 취소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issuegate.com/news/view.php?idx=91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