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미북정상회담은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개최된다.
싱가포르는 북한과 거리가 멀지 않고 외교 관계가 체결된 중립적 지역이기 때문이다. 평양에서 싱가포르는 거리가 4800㎞가량이다. 북한이 보유한 참매-1호로 논스톱으로 갈 수 있다. 미국 대통령 전용기인 에어포스원이나 북한의 구소련시대 비행기의 보수 정비를 모두 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북한은 1965년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에서 분리 독립한 직후부터 외교 관계를 맺었다. 우리 정부보다 2년 앞선 1968년 주(駐)싱가포르 통상대표부를 설치했다. 싱가포르는 또한 북한의 주요 교역국이다. 북한 대사관은 싱가포르의 가장 번화가인 중앙상업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김정은이 휴식을 취할 독립 공간이다.
싱가포르는 미국과도 가깝다. 동남아를 관할하는 미 해군의 기지가 있는 곳이 싱가포르다.
구글, 페이스북, 에어비앤비 등 유명 미국 기업들의 아시아 본부가 모두 싱가포르에 있다. 싱가포르와 미국은 1966년 공식 외교 관계를 설립했다.
중국과 대만의 최고 지도자가 역사적인 첫 정상회담을 했던 곳도 싱가포르였다. 지난 2015년 싱가포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마잉주 대만 총통이 최초로 양안 정상회담을 가졌다.
싱가포르는 치안이 좋고 국제 행사도 자주 열린다.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 등 대규모 국제 행사가 자주 열린다. 2015년엔 북한 리용호 외무성 부상(현 외무상)과 스티븐 보즈워스 전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회담을 갖기도 했다.
김정은의 형 김정철은 2011년 싱가포르에서 팝가수 에릭 클랩턴의 공연을 관람했다. 김정은 후견인 역할을 했던 고모 김경희는 2012년 싱가포르에서 지병을 치료했다. 지난달 초 최희철 외무성 부상이 싱가포르를 방문하면서 미·북 회담을 사전 점검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미 정부 관계자들은 한반도와 중국은 중립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배제했고, 유럽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장거리 이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봤다. 다른 유력 후보지인 몽골은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판문점의 경우 남북 정상회담이 개최 돼 신선도가 떨어지고, 정부 내 강경파 인사들이 회담 장소가 실제 회담 내용과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따뜻하고 바른 사회를 위한 불편부당 시대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