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김대중 전 대통령 3남 김홍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남 김홍업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과 유산분쟁에 휩싸였다.
이희호 여사 서거 후 동교동 사저와 김 전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상금 등 40억원대 재산을 김 의원이 독차지하자 둘째 형이 법적 대응에 나섰다.
김 의원은 최근 백선엽 장군을 친일파로 매도하고 형과 유산분쟁을 벌이면서 과거 뇌물사건이 거듭 부각되는 등 궁지로 몰리고 있다.
그는 아버지 김대중 대통령 시절이던 2002년 5월 30억원대 뇌물사건으로 구속기소된 바 있다.
김홍걸 의원.
김홍업 이사장은 △김홍걸 의원이 지난해 6월 이 여사 사후 동교동 사저(32억5천만원)와 이희호 여사가 김 전 대통령 서거 후 하나은행에 예치해놓았던 노벨평화상 상금 8억원을 가져갔고, △이에 법원에 동교동 사저와 관련한 ‘부동산처분금지가처분’신청을 했더니 법원이 지난 1월 6일 인용했다고 30일 밝혔다.
김홍업 이사장은 "집안 망신이라 조용히 처리하려고 했는데 김 의원이 법의 맹점을 이용해 재산을 강취했다"는 입장이다.
김 이사장은 "(재산을 가져가기 전)김 의원이 어떤 언질도 없었다"면서 "뒤늦게 관련 사실을 알고 항의했지만 아무런 반응도 없었다"고 했다.
김 이사장에 따르면 이 여사는 유언장에서 "동교동 사저를 '대통령 사저 기념관'(가칭)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노벨평화상 상금은 대통령 기념사업을 위한 기금으로 사용하라"고 했다.
동교동 사저를 지방자치단체 및 후원자가 매입해 기념관으로 사용할 경우 보상금 3분의 1(9분의 3)은 김대중기념사업회에, 나머지 3분의 2(9분의 6)는 삼형제에게 균등하게 상속하라고 했다.
김대중 기념사업회는 권노갑씨가 이사장이다.
김 이사장은 “유언장 내용에 (김 당선인을 포함한)3형제가 모여 합의를 했다"면서도 "변호사 공증은 안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렇게 뒤통수를 때릴지 몰랐다. 당시에는 합의에 다 동의해놓고 법의 맹점을 이용해 유언을 어기고 유산을 강취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김 이사장은 "동교동 사저를 유언대로 김대중기념사업회가 관리하도록 해달라고 가처분 소송을 냈더니 김 의원 측에서 이사장인 권노갑 고문이 나이가 많아서 제대로 판단을 할 수 없다는 식으로 답변서를 냈더라. 그 답변서를 보고 권노갑 고문이 충격을 받았다. 김 당선인이 거짓말과 궤변만 늘어놓고 있다"고 비판했다.
권노갑 전 고문은 올해 만 90세이다.
생전의 김대중 대통령 내외.
법적으로 김 의원은 고 이희호 여사의 유일한 법정상속인이다. 민법에 따르면 부친이 사망할 경우 전처의 출생자와 계모 사이의 친족관계는 소멸하는 것으로 규정돼 있다.
3형제 중 첫째 고 김홍일 전 의원과 둘째 김홍업 이사장은 김 전 대통령과 첫째 부인 차용애 여사 사이에서 난 자식이다. 김 전 대통령은 차 여사가 1960년 사망한 후 이 여사와 결혼해 3남 김홍걸 의원을 낳았다.
민법 규정에 따르면 김 전 대통령 사망 후 이 여사와 김홍일·김홍업 사이의 상속관계는 끊어진다.
김 이사장은 "노벨상 상금 11억원 중 3억원은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에 기증했고, 나머지 8억원은 해마다 12월에 이자를 받아 불우이웃 돕기와 국외 민주화운동 지원에 써왔다"면서 "이런 돈까지 가져가니 너무하다. 그 돈은 아무도 행방을 모른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하면서 신고한 재산에 노벨상 상금을 포함시키지 않았다.
김홍걸 의원은 김대중평화센터와는 별도로 사단법인 '김대중·이희호 기념사업회'를 만든다는 입장이다.
김 의원은 유산 분쟁에 대해 아무 반응도 하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촌철살인 시대 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