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아직도 증오와 적대의 언어가 넘쳐난다"고 지적―
문재인 대통령은 3일 제주 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0주년 4·3희생자 추념식 추념사를 통해 "4·3의 진실은 어떤 세력도 부정할 수 없는 분명한 역사의 사실로 자리 잡았다는 것을 선언한다"며 "국가권력이 가한 폭력의 진상을 제대로 밝혀 희생된 분들의 억울함을 풀고 명예를 회복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국가폭력으로 말미암은 그 모든 고통과 노력에 대해 대통령으로서 다시 한 번 깊이 사과드린다 "고 했다.
문 대통령은 "2000년 김대중 정부는 4·3진상규명특별법을 제정하고 4·3위원회를 만들었다"며 "노무현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 처음으로 4·3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인정하고 위령제에 참석해 희생자와 유족·제주도민께 사과했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아직도 4·3의 진실을 외면하는 사람들이 있다. 아직도 낡은 이념의 굴절된 눈으로 4·3을 바라보는 사람들이 있다"며 "아직도 대한민국엔 낡은 이념이 만들어낸 증오와 적대의 언어가 넘쳐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제 우리는 아픈 역사를 직시할 수 있어야 한다. 불행한 역사를 직시하는 것은 나라와 나라 사이에서만 필요한 일이 아니다"라며 "우리 스스로도 4·3을 직시할 수 있어야 한다. 낡은 이념의 틀에 생각을 가두는 것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이 이처럼 4·3 사건을 "국가권력에 의한 폭력"이라고 규정한 데 반해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대해 "건국 과정에서 김달삼을 중심으로 한 남로당 좌익 폭동에 희생된 제주 양민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행사"라고 규정했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제주 4·3 사건을 두고 “수많은 제주 양민이 무고한 죽음을 당한 날과는 아무 연관이 없는 날”이라고 주장했다.
홍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김달삼 남조선노동당 제주도당 위원장이 350명의 무장 폭도를 이끌고 새벽에 제주 경찰서 12곳을 습격했던 날”이라고 했다.
그는 “(4월 3일을) 제주 양민이 무고하게 희생된 날로 잡아 추념하고 있다. 이는 오히려 폭동과 상관없는 제주 양민들을 모욕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대중 전 대통령도 1998년 CNN과의 인터뷰에서 제주 4·3 사건은 공산 폭동이라고 말한 바 있다”고 했다.
이어 “제주 4·3 사건에 대한 특별법을 개정할 때 반드시 이것도 시정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따뜻하고 바른 사회를 위한 불편부당 시대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