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민 전 기재부 사무관에 대한 기재부의 검찰고발을 "내부 고발을 가로막는 입막음"이라고 비판 논평을 냈던 참여연대가 하루 만에 입장을 바꿔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
신 전 사무관은 청와대가 기획재정부에 적자 국채 발행을 압박하고, 민간 기업 KT&G 사장 및 서울신문 사장 교체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참여연대는 지난 4일 오후 6시 홈페이지에 기재부의 신재민 전 사무관 검찰고발을 ‘지나치다’고 비판했다. "전직 공무원이 부당하다고 생각한 사안을 공개했다는 이유로 고발부터 하는 행태는 입막음을 위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후 참여연대 게시판에 "적폐 세력에게 (비판의) 실탄을 제공하려고 하나"라는 비난 댓글과 함께 후원을 중단하겠다는 반발이 이어졌다.
그러자 참여연대는 5일 오후 7시쯤 '기재부의 신재민 전 사무관 고발 비판 논평 관련해'라는 제목의 글을 다시 올렸다.
참여연대는 "지금까지 드러난 정황상 신재민씨의 주장이 타당하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신씨를 공익 제보자로 보호해야 한다는 취지는 아니다"라고 했다.
♦참여연대 4일 논평
참여연대는 4일 논평을 통해 "신재민 전 기재부 사무관이 청와대가 2018년 KT&G 사장 및 서울신문 사장 인사와 적자 국채 발행에 압력을 넣었다고 폭로한 것에 대해 지난 2일 기재부가 공무상 비밀누설금지와 공공기록물 관리법 위반 혐의로 고발했다"며 "신 전 사무관 폭로의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기재부의 고발은 정부와 공공기관 내 부패 비리 및 권력 남용, 중대한 예산 낭비와 정책 실패와 관련한 내부(관련)자의 문제 제기를 가로막는 부정적 효과를 낳을 수 있고, 행정 및 정책의 결정과 추진과정에 대한 지나친 비밀주의를 부추길 수 있다는 점에서 철회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참여연대는 또한 "신 전 사무관이 MBC에 제보한 'KT&G 동향 보고' 문건과 유튜브 등을 통해 공개한 내용이 과연 비밀로 보호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인지 의문"이라며 "신 전 사무관의 폭로에 대해 기재부가 스스로 해명했듯 '정책적 의견 제시'와 '협의'일 뿐이라면, 그 배경과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될 일"이라고 힐난했다.
그러면서 "전직 공무원이 자신이 보기에 부당하다고 생각한 사안을 공개했다는 이유로 검찰에 고발부터 하고 보는 행태는 '입막음'을 위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며 "또한 기재부의 이같은 대응이 국민의 알권리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스럽다"고 비판했다.
참여연대는 "기재부는 내부 관련자의 문제제기에 명예훼손 등 고소ㆍ고발로 대응했던 이명박ㆍ박근혜 정부와 달리 이번 사건을 정책 결정과 추진과정에 관한 정보들을 투명하게 공개해 국민의 신뢰를 얻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에 대해서도 "아울러 신 전 사무관에 대한 인신공격 발언을 쏟아낸 더불어민주당과 일부 국회의원들의 행태도 매우 실망스럽다"면서 "정당과 국회의원이라면 폭로 내용의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정치ㆍ사회적 파장을 고려하여 신중히 대응해야 한다"고 질타했다.
이어 "신 전 사무관의 주장에 대해 정책적 반박이나 설명을 내놓았어야 할 여당과 일부 의원들이 공개적으로 인신공격을 퍼붓는 행태는 또 다른 숨은 내부 제보자들을 위축시키는 효과로 이어진다"며 "이번 사례를 계기로 내부 제보를 정쟁의 도구로 삼아 제보자들을 공격하는 정치권의 행태 또한 개선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따뜻하고 바른 사회를 위한 불편부당 시대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