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현장메모› 저수지 태양광보다 서울대공원 태양광이 더 위험하다
  • 기사등록 2018-12-20 11:16:08
  • 기사수정 2018-12-26 13:04:53
기사수정


꽃길만 걷던 태양광 사업이 곳곳에서 암초에 부딪치고 있다. 정부가 전국 저수지 태양광 계획을 전면 재검토키로 했다. 화재가 빈발한 태양광 시설인 ESS(에너지 저장장치) 가동도 중단시켰다.

만시지탄이 아닐 수 없다. ‘탈원전’ 이념보다 더 중요한 것은 국민의 안전이기 때문이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외부 지적을 반영해 수상 태양광 사업의 추진 방향을 정비하겠다"고 밝혔다. 엊그제 문재인 대통령에게 업무 보고를 한 것이니 빈말일 리 만무하다. 기존의 일방추진을 사실상 철회한 셈이다. 

이유는 복잡하지 않다. 경관이 파괴되고 안전이 확보되지 않아서다. 주민들은 중금속 방출에 따른 수질오염, 전자파 발생, 태풍과 녹조 피해 등 부작용을 우려했다. 이런 이유로 전국적 반발이 심해 899개를 목표로 한 저수지 태양광 사업을 진행할 수 없게 됐다. 그래서 정부는 주민들이 원하는 곳만 추진키로 물러섰다. 



지난 17일 오전 7시 9분쯤 충북 제천시 송학면의 아세아시멘트 공장 건물에서 화염이 일고 있다. 소방 당국은 전력 저장 장치인 에너지 저장 장치(ESS)에서 불이 난 것으로 추정했다. 충북소방본부

ESS는 풍력·태양광 발전에서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처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하는 장치다. 안전성을 소홀히 한 채 보조금을 주며 조급하게 밀어붙이다보니 이 시설에 거듭 불이 나고 있다. 정부 집계에 따르면 ESS에서 발생한 화재 16건 중 8건이 태양광발전소와 연계된 곳이다. 

정부는 화재 원인도 분석하지 못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 ESS 배터리에 문제가 있는지, 전력변환장치(PCS)에 문제가 있는지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진 못했다"고 했다. 심각한 문제는 또 있다. ESS에서 화재가 발생해도 진압할 소화액을 아직 개발하지 못했다. 불이 나면 꺼지 못하고 전소할 때까지 기다리는 실정이다.

화재 발생 원인도 파악하지 못하고, 화재 발생 때 소화액조차 개발하지 않은 ESS를 정부가 독려한 셈이다. 실적에만 급급해 안전은 뒷전이다. 국민소득 3만 달러를 자랑하는 시대에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서울시 산하 기관인 서울 에너지공사는 서울대공원 주차장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려고 한다. 이들은 과천시에 건설을 허가 해달라고 요구하는 공문을 이미 두 번이나 제출했다. 이젠 세 번째 공문을 준비 중이다. "허가를 해줄 때까지 압박 하겠다"는 투다. 문재인 정부가 저수지 태양광 설치를 철회하고 있는데도 이런 막무가내가 없다. 

정부가 저수지 태양광을 철회한 근본적인 배경은 주민들의 안전에 대한 걱정과 이에 따른 반대이다. 서울대공원 태양광에 대해서 과천시민들은 1만 명이 넘는 연대 서명으로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수많은 어린아이들과 차량이 드나드는 서울대공원 주차장은 전국의 어느 저수지보다 위험하다. 저수지 태양광만 철회할 게 아니라 서울대공원 태양광도 철회해야 마땅하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귀를 열어야 한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issuegate.com/news/view.php?idx=315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