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초고령사회 일본에서 성인용 기저귀 쓰레기 처리 문제가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19일 보도했다. 

일본위생재료공업연합회에 따르면 성인용 기저귀의 생산량은 2007년 45억장에서 2017년 78억장으로 10년 사이 73.3%나 증가했다. 초고령사회가 되면서 기저귀를 사용하는 고령자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개호(노인 돌봄)가 필요한 사람의 수는 2015년 기준 450만명으로, 2030년에는 670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오사카의 베리어프리복지기기 박람회에서 한 여성이 기저귀 체험을 하고 있다.(사진= 네이버 블로그)

생산량이 늘면서 쓰레기의 양도 급증했다. 일본종이기저귀재활용추진협회에 따르면 같은 기간 성인용 기저귀 쓰레기의 양은 84만톤에서 145만톤으로 72.6% 늘었다. 기저귀 쓰레기 문제는 고령자의 비중이 큰 시골에서 더 심각했다. 

일부 시골 지자체의 경우 성인용 기저귀가 재활용이 안 되는 ‘일반 쓰레기’의 20~30%를 차지하는 곳도 있었다. 

성인용 기저귀 쓰레기가 심각한 것은 유아용 기저귀에 비해 크고 무거운데다 수분 함량이 많아 태우기도 어렵다는 데 있다. 일본에서 현재 400여종의 성인용 기저귀가 판매되고 있는데, 상당수는 흡수량이 1,000㏄에 달한다. 가고시마현의 한 노인 요양 시설 관계자는 “시설에서 나오는 쓰레기의 90%가 기저귀”라며 “가능하면 기저귀에 의지하지 않도록 하고 있지만, 쓰레기의 양은 계속 늘기만 한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일본 환경 당국은 ‘사용 후 기저귀 재활용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지자체들에 배포해 기저귀 쓰레기 줄이기에 나설 방침이다. 가이드라인은 지자체의 기저귀 쓰레기 재활용 성공사례를 소개하는 한편 쓰레기 처리와 회수에 대한 지침을 담을 계획이다. 


일본에서는 기저귀를 연료나 건축자재로 재활용하는 기술이 개발돼 일부 지자체에서 활용되고 있다. 돗토리현 호키초의 경우 기저귀를 고체형 연료로 만드는 기술을 도입해 관련 쓰레기를 대폭 줄였다. 


일본의 성인용 기저귀 처리 문제는 남의 일이 아니다. 환경부에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1회용 기저귀 사용량은 2017년 기준으로 30억개를 넘어섰다. 5년만에 4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출생아 수가 감소한 것을 고려했을 때 1회용 기저귀 사용이 늘어난 것은 노인인구 급증에 따른 성인용 기저귀 사용의 증가로 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사용한 1회용 기저귀는 일반 생활폐기물로 분류돼 종량제봉투에 넣어 배출되고 있으며 생산자의 폐기물 부담금 부과 대상이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issuegate.com/news/view.php?idx=271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