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1일 국무회의에서 평양 남북정상회담 동반 방북을 거부한 국회의장단과 야당 대표들을 향해 "이처럼 중차대한 민족사적 대의 앞에서 제발 당리당략을 거두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취임한 후 국회와 야당을 향해 이 표현을 쓴 것은 이례적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국회와 야당을 향해 ‘당리당략(黨利黨略)’이라는 표현을 쓴 적이 있지만 문 대통령은 그동안 이 말을 쓰지 않았다.
문 대통령의 당리당략이라는 비판은 한국당과 바른미래당 뿐 아니라 문희상 국회의장과 이주영 주승용 부의장에게도 해당되는 표현이어서 적절성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문 의장과 부의장단은 청와대의 평양회담 동반 공개요청에 대해 입장문을 내고 공식 거부입장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이 거듭 '당리당략'이라는 표현을 쓰며 압박한 것은 입법부 수장에 대한 월권행위으로 비쳐질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우리는 이번 평양 정상회담을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다시 한번 큰 걸음을 내딛는 결정적인 계기로 만들어내야 하고 북미 대화의 교착도 풀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강력한 국제적인 지지와 함께 국내에서도 초당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국회 차원에서도 이번 정상회담을 국회 회담의 단초를 여는 좋은 기회로 삼아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평양 남북정상회담에 국회의장단과 여야 5당 대표, 국회 외교통일위원장 등 9명에게 정치 분야 특별대표단 자격으로 동행해줄 것을 요청했다가 야당 대표들은 물론 국회의장단에게도 거부당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이날 한병도 정무수석을 국회로 보내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 등을 면담하고 설득했지만 재차 거부당했다.
한병도 수석은 이날 손 대표를 만난 자리에서도 임종석 실장의 공개 초청에 대해 별도의 사과는 하지 않았다. 한 수석은 "오늘은 사과나 이런 차원으로 온 게 아니고 저희 취지를 설명했다"며 "(손 대표는) 참석에 대해 부정적인 말씀을 하셨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상회담 초청에 응하겠다는 민주평화당 등에 대해서는 "참석하겠다는 당을 배제할 수는 없지 않나"라며 "모시고 가는 쪽으로 생각해야 될 것 같다"고 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따뜻하고 바른 사회를 위한 불편부당 시대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