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당 손학규대표가 취임 이틀 만에 당내갈등을 자초했다. 4‧27 판문점 선언 국회 비준 동의에 대해 적극적 협조 입장을 밝히자 바른정당계에서 강력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손학규 대표는 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본적으로 남북평화문제에 대해서 우리 당이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4‧27 선언 비준 문제도 우리 당이 적극 나서야 된다”고 말했다. 다만 “너무 조급하게 서두르지는 않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손 대표의 이날 발언은 문재인 대통령과 문희상 국회의장의 비준 촉구 발언에 호응하는 것으로 비쳐져 당내 논란이 커졌다.
전날 문재인 대통령은 청와대 수석 비서관‧보좌관 회의에서 “국회가 초당적으로 판문점 선언을 뒷받침해준다면 한반도 평화를 진척시키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날 문희상 국회의장도 정기국회 개회사에서 “국민의 72%가 국회 비준 동의를 압도적으로 지지하는데 망설일 이유가 무엇이냐”고 말했다.
지상욱 의원은 즉각 성명서를 내고 “(손 대표 발언에)결코 동의할 수 없다”며 “신임 당 지도부는 대표의 돌출발언에 대해 지도부의 입장을 밝혀주기 바란다”고 반기를 들었다.
지 의원은 “완전한 비핵화 없는 판문점 선언의 이행은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원칙에 위배되고 ▲경제적 부담이 얼마나 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북한에 백지수표를 써주는 것이며 ▲그간 바른미래당이 견지해온 신중한 입장에도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비준 동의가 어렵다는 당내 의견이 지배적이라는 게 지 의원 주장이다. 그런데도 손 대표가 독단적으로 비준협조를 언급했다는 것이다.
손 대표가 지 의원의 반발을 그냥 묵살 하기는 어렵다. 최고위원으로 바른정당계에서 하태경 이준서 권은희 최고위원 등 3명이 당선돼 일방적으로 당을 운영할 수 없다. 대주주 유승민 의원 등이 손 대표의 독주에 집단 반발하면 손 대표는 다당제에서 조정자 역할을 하기도 전에 당이 노선투쟁으로 분열될 수도 있다.
더구나 바른정당계는 지난 6월 20일 바른미래당이 의원 워크숍을 거쳐 당 정체성을 ‘합리적 중도와 개혁적 보수’에서 ‘합리적 진보와 개혁적 보수’로 노선을 수정한 데 대해 승복할 수 없다는 입장이 강하다.
손 대표는 이날 신임 당직자 인선을 발표했다. 바른정당 출신 오신환 의원이 신임 당 사무총장에, 국민의당 출신 채이배 정책위의장 권한대행이 비서실장에 지명됐다. 수석대변인에는 국민의당 출신 김삼화 의원이 지명됐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따뜻하고 바른 사회를 위한 불편부당 시대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