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용산 대통령실이 농축산물 추가 개방을 시사하자 농축산인들 반발이 커지고 있다. 자료사진 


이재명 대통령실이 한미 관세협상에서 농축산물 추가 개방을 시사하고 나서, 농축산인들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미국 정부는 자국산 쌀과 30개월령 이상 소고기 등 농축산물 수입 확대를 요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28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미국측의 압박이 매우 거세고, 구체적으로 농축산품 요구가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가능한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해 양보의 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지난 25일 "협상 품목 안에 농산물이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 수석이 '양보폭 최소화'라는 표현으로 추가 개방 불가피성을 언급한 것이다.


한국농축산연합회와 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 축산관련단체협의회, 농민의길 등은 28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인근 삼각지역 앞에서 '한미 상호관세 협상 농축산물 개방 반대 전국 농축산인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노만호 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 상임대표는 "미국산 농축산물에 대해 사실상 전면 개방한 마당에 문을 또다시 열어준다면 농민 생존권과 함께 국내 농업 생산 기반 붕괴는 시간 문제일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 농축협 조합장들은 29일 성명을 통해 " 핵심 농축산물의 추가 개방은 농업의 붕괴를 가속하고 식량주권과 국민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며 "정부는 이번 협상 품목에서 농축산물을 전면 제외하라"고 촉구했다.


전국농민회총연맹 광주전남연맹, 전남비상행동, 진보당 전남도당도 이날 전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우리나라는 미국산 농축산물 5위 수입국이며, 대미 농산물 무역적자는 88억 달러에 이르는 상황에서도 트럼프 정부가 강압적인 미국산 사과, 쌀, 30개월령 이상 쇠고기 수입 등 추가적인 개방을 요구하고 있다"며 "이재명 정부는 트럼프 정부의 농축산물 수입 개방 강압에 단호히 맞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에 대해서도 "미국의 쌀 및 소고기, 과일 시장 개방 요구를 당론으로 거부하고 공개 천명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issuegate.com/news/view.php?idx=1680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