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사진=KBS캡처 

 

6·3 대선을 일주일 앞둔 27일 공표된 후보 지지율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후보는 주춤하는 반면 김문수 이준석 후보는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후보단일화를 놓고 기싸움을 벌여온 김문수-이준석 후보는 이날 나온 여론조사를 각자 유리하게 해석하는 '아전인수'적 태도를 보였다. 


27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중앙일보 의뢰로 지난 24~25일 전국 성인 1천4명을 대상으로 대선후보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지지율은 3자구도에서 큰 폭의 상승세는 보이지 않았지만 가상 양자대결 구도에서 선두의 이재명 후보와 격차를 대폭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서 가상 양자 대결을 할 경우 이재명 후보(52%)와 김문수 후보(42%)는 10%포인트 차이였고, 이재명 후보(51%)와 이준석 후보(40%)는 11%포인트 차이였다.


고무된 이준석 후보는 김문수 후보와 단일화에 거듭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김문수 후보의 사퇴를 촉구하면서 자신에게 지지세를 모아달라고 호소했다. 


그러나 이날 또다른 여론조사결과가 나왔다. 

미디어리서치 조사에서 김문수 후보가 3자대결구도에서 이재명 후보에게 6.2%포인트 차로 붙었다. 김문수 후보와 국민의힘은 이같은 여론조사를 내보이며 3자대결구도가 후보단일화보다 낫다는 주장을 펴고 나섰다. 




 한국갤럽 조사서 3자 대결구도서는 이재명 49%, 김문수 35%, 이준석 11%



3자 대결구도에서는 이재명 후보 49%,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35%,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11%,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 1%였다.


이달 초(5월 3~4일) 중앙일보·한국갤럽 조사 당시 3자 대결과 비교하면 이재명 후보(49%)는 수치에 변화가 없는 반면, 김문수 후보(33%)와 이준석 후보(9%)는 각각 2%포인트씩 소폭 상승했다.


지역별로 이 후보는 최대 승부처인 서울(46%)과 인천·경기(52%) 등 수도권에서 50% 안팎의 지지율을 얻었고, 충청권에서도 과반(49%)에 육박했다. 호남에선 79%를 기록했다. 

김문수 후보가 앞선 지역은 대구·경북(TK, 49%)과 부산·울산·경남(PK, 47%) 등 영남뿐이었다.


중도층 지지율에서 이재명 후보는 다자 대결에서 57%를 기록한 데 비해 김문수 후보 26%, 이준석 후보 12%였다. 

양자 대결에서도 이재명 후보는 김문수 후보(34%)와 맞붙었을 때는 61%, 이준석 후보(35%)와 승부 때는 58%를 각각 얻었다.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41%, 국민의힘 33%, 개혁신당 6%, 조국혁신당 5% 순이었다. 없다는 12%, 모름은 1%였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가상번호) 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응답률은 24.4%,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미디어리서치 조사에선 3자대결구도에서 이재명- 김문수 6%포인트 격차로 좁혀져  



27일 뉴스핌에 따르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5일부터 26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으로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 3자 가상 대결 시 이재명 후보 지지율은 47.3%로 직전 조사(49.9%)와 비교해 2.6%포인트(p) 하락했다.


김문수 후보 지지율은 41.1%로 직전 조사(36.6%)와 비교해 4.5%p 상승했다. 이준석 후보 지지율은 8.0%로 직전 조사(8.7%) 대비 0.7%p 떨어졌다.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의 지지율 차이는 6.2%p였다.


연령 별로 보면 20대(만 18~29세)와 30대에서 이재명 후보 지지율이 오르고 이준석 후보 지지율은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20대는 이재명 42.7%, 김문수 27.6%, 이준석 20.5%다. 직전 조사 대비 이재명은 5.4%p 올랐다. 김문수와 이준석은 각각 0.9p, 3.7%p 하락했다.


30대는 이재명 44.4%, 김문수 37.2%, 이준석 14.8%다. 직전 조사 대비 이재명과 김문수는 각각 3%p, 1.6%p 올랐다. 이준석은 4.5%p 떨어졌다.


지역 별로 보면 부산·경남(PK) 지역에서 김문수 후보 지지율이 오르고 이재명 후보 지지율은 떨어졌다. 대통령 선거 풍향계 역할을 하는 충청도에서도 김문수 후보 지지율이 상승하고 이재명 후보 지지율을 하락했다.


부산·울산·경남은 김문수 49.7%, 이재명 36.0%, 이준석 11.2%다. 직전 조사 대비 이재명은 13.8%p 하락했다. 김문수와 이준석은 각각 11.4%p, 2.6%p 상승했다.


대전·충청·세종은 김문수 47.2%, 이재명 44.8%, 이준석 3.4%다. 직전 조사 대비 김문수는 5.7%p 올랐다. 이재명과 이준석은 각각 1.3%p, 5.6%p 떨어졌다.


서울은 이재명 44.5%, 김문수 41.8%, 이준석 9.1%다. 경기·인천은 이재명 52.4%, 김문수 37.0%, 이준석 8.5%다. 강원·제주는 이재명 49.1%, 김문수 36.8%, 이준석 6.7%다.


대구·경북은 김문수 47.1%, 이재명 37.8%, 이준석 7.4%다. 광주·전남·전북은 이재명 64.6%, 김문수 29.2%, 이준석 5.2%다. (이번 조사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6.2%)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난 23일 열린 2차 TV 토론회 역시 이재명 후보는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후보로부터 협공을 당하며 방어하기에만 급급했고 120원 커피 원가 발언 등이 오히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반발을 불러일으켰다"며 "김문수 후보는 박정희 생가 방문과 박근혜 전 대통령 예방, 충청권 지역 집중 유세전을 펴며 전통적인 중도 성향이 강한 지역에서 지지율 상승을 이끌어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issuegate.com/news/view.php?idx=1655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