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자료사진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탄핵책임론’에 휩싸이고 있다.
한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선포 파동 이후 ‘질서 있는 퇴진’을 추진했지만 윤 대통령이 거부했다.
윤 대통령은 ‘2~3개월 뒤 하야’라는 국민의힘 제안을 뿌리쳤다. 대신 국회탄핵,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이라는 법적 절차를 선택한 것으로 11일 전해졌다.
윤 대통령은 1~2년도 아닌 2~3개월 뒤 하야보단 1%라도 구명도생의 가능성이 있다면 탄핵심판을 받는 게 유리하고 정치적으로도 떳떳하다는 논리다.
대통령의 의중이 전해지면서 오는 14일 민주당이 밀어붙이는 2차 탄핵소추안 표결은 통과될 가능성이 높다. 한동훈계 국회의원들이 찬성표를 던질 기세다.
현직 대통령이 국회에서 탄핵당할 경우 여당 대표가 무사할 수 없다. 의당 대통령의 탄핵을 막지 못한데 대한 정치적 책임론이 당 안팎에서 분출할 것이다.
윤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한 뒤 한 대표를 체포명단에 포함시켰고, 한 대표가 계엄조치에 대해 즉각 반대선언을 한 것으로 면죄부를 받을 수 없다. 누가 뭐래도 여당대표로서 대통령의 법적 정치적 파국을 막지 못한 책임은 작지 않다.
박성민 정치컨설팅 민 대표는 11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정곡을 찔렀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거취에 대해 "만일 탄핵이 된다. 그러면 대표 스스로도 책임을 져야 될 것"이라며 대표직 사퇴를 전망했다.
이어 "정치적으로는 그렇지 않겠나"라며 "지금 한동훈 대표가 내놓은 안이 탄핵을 막기에는 너무 명분이 없고 또 실익도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총선 때의 갈등은 그렇다 치더라도 총선 이후에 전당대회에 나왔을 때는 어쨌든 지금 대통령과의 갈등을 잘 해결해 달라는 요구가 있었는데 한동훈 대표 체제가 들어선 뒤 정리가 되기는커녕 훨씬 더 증폭됐고 결국 파국을 맞았기 때문에 그 점에 대한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한 대표의 차기 대선출마 가능성에 대해 "지금은 가능성이 비상계엄 이전보다는 많이 낮아졌다"라며 "대선주자라도 된다고 했을 때 과연 보수층을 다 결집시킬 수 있느냐, 그런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가능성은 좀 많이 떨어졌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 너머 이슈를 보는 춘추필법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