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신용평가사 S&P는 29일 "여전히 높은 금리, 정부의 가계부채 레버리지 축소 노력, 코로나 기간을 포함 지난 몇 년 사이 급등한 주택가격을 고려할 때, 향후 1-2년간 부진한 부동산 시장상황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S&P 글로벌 신용평가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주택가격과 거래량은 최근 몇 분기 동안 크게 반등한 반면, 비수도권 지역은 높은 미분양 물량이 지속되는 등 침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점진적으로 낮추기 위해 가계부채 증가속도를 면밀히 관리해 나갈 것"이라며 "정부는 정책 노력의 일환으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추가적으로 강화했으며 수도권 지역의 정책모기지 한도를 축소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S&P는 이같은 부동산시장 침체가 국내 금융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선 "저축은행 및 상호금융기관들은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PF(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사업장 익스포져가 높아 어려운 상황이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한국 은행들에겐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며 "은행들의 자산 규모 대비 관련 익스포져가 작고 주거용 중심의 우량 프로젝트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또한 잠재적인 자산건전성 압박에 대비해 지난 몇 년 동안 추가 적립한 충당금도 손실흡수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 너머 이슈를 보는 춘추필법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