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5일 제 79주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KTV캡처
윤석열 대통령은 15일 "한반도 전체에 국민이 주인인 자유민주통일 국가가 만들어지는 그날, 비로소 완전한 광복이 실현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세종문화회관에서 광복회 등이 불참한 가운데 열린 제79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우리 앞에는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중차대한 역사적 과제가 있다. 바로 통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저는 오늘, 헌법이 대통령에게 명령한 자유민주주의 평화통일의 책무에 의거해 우리의 통일 비전과 통일 추진 전략을 우리 국민과 북한 주민, 그리고 국제사회에 선언하고자 한다"며 '8·15 통일 독트린'을 발표했다.
우선 3대 비전으로는 '자유와 안전이 보장되는 행복한 나라', '창의와 혁신으로 도약하는 강하고 풍요로운 나라', '세계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는 나라'를 꼽았다.
또 3대 전략으로는 '자유 통일을 추진할 자유의 가치관과 역량 배양', '북한 주민의 자유 통일에 대한 열망 촉진', '자유 통일 대한민국에 대한 국제적 지지 확보'를 들었다.
윤 대통령은 또한 "남북대화는 보여주기식 정치 이벤트가 아니라, 우리 국민과 북한 주민의 평화 보장과 생활 개선 등을 논의하는 실질적인 자리가 되어야 한다"며 "남북 당국 간 실무차원의 대화협의체 설치를 제안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기에서 긴장 완화를 포함해 경제 협력, 인적 왕래, 문화 교류, 재난과 기후변화 대응에 이르기까지 어떤 문제라도 다룰 수 있다"며 "이산가족, 국군포로, 납북자, 억류자 문제와 같은 인도적 현안도 협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또한 "통일 대한민국이 세계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는 나라가 될 것이라는 믿음을 국제사회에 널리 확산시켜야 한다"며 "뜻을 같이하는 국가들과 함께 '국제한반도포럼'을 창설하겠다"고 했다.
또 북한 인권유린을 국제사회에 알리기 위한 '북한 인권 국제회의'를 창설하고 북한 주민의 자유와 인권을 촉진하는 민간 활동 지원을 위한 '북한 자유 인권 펀드'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광복회와 민주당, 백범기념관서 기념식
광복회 등 독립운동 관련 단체는 15일 정부와 별도로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기념식을 열었다.
1965년 공법단체로 출범한 광복회가 정부의 광복절 기념식에 불참하고 따로 기념식을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이 행사에 참석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두 행사에 불참하고 국립서울현충원을 참배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 너머 이슈를 보는 춘추필법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