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동훈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자료사진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23일 당대표 전당대회 출마선언을 하면서 대법원장이 채상병 특검을 임명하자는 '3자 특검'안을 대안으로 제시하자 당이 소란스럽다. 


당대표 경쟁자인 나경원 원희룡 윤상현 후보는 "순진한 발상"이라며 일제히 반대했다. 친윤(친윤석열) 주류에선 “용산에 대한 협박”이라는 격앙된 반응이 터져 나왔다. 


한 후보는 24일 라디오인터뷰에서 "선수(민주당)가 심판(특검)을 고르는 민주당 법은 통과되면 안 되고 이 경우 윤석열 대통령이 재의요구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자신의 제안을 부연설명했지만, 당내에서는 향후 특검법 재표결 정국에서 여당의 단일대오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등 파장이 상당하다.


파장이 어디로 튈지 두고봐야지만 한동훈 후보가 출발선상에서부터 이슈를 선점하고 당권레이스를 이끄는점은 분명하다. 

또 윤석열 대통령과도 '수평적 관계'를 대외적으로 천명한 것이나 다름없어 여당의 당권레이스에 국민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한동훈 라디오 인터뷰 "채상병 특검,정면돌파해야"



한동훈 후보는 24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나와 채상병 특검과 관련, "이 문제를 정면돌파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지 않으면 이 논란이 없어지지 않을 것 같고, 국민들이 의구심이 사라지지 않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법원장이 특검을 임명하자는 자신의 '3자 특검'에 대해 "서로 간에 정치적인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달라지고 그러고 굉장히 여러 가지 논란이 있는 상황에서 수사할 주체를 정할 때 수사의 주체를 일방의 선수가 하게 하는 게 맞겠느냐, 아니면 공정함이 담보되는 제3자가 하는 게 맞겠느냐"라고 반문한 뒤, "저는 누구라도, 민주당에서도 당연히 후자가 더 공정한 시스템이다라고 하실 것 같다"고 단언했다.


22대국회 들어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이 발의한 채상병 특검법은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이 특검후보를 1명씩 추천하고 대통령이 특검을 임명하지 않을 경우 연장자가 자동임명되도록 했다. 한동훈 안은 특검 임명자를 대법원장으로 정해 객관성을 높이자는 것이다. 


한 후보는 "이 사안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대법원장이 사실 결정하게 하는 것은 논란을 누구나 승복하게 할 수 있을 것 같다"며 "그러고 전례도 있다. MB 특검이나 유전 특검에서 그랬던 전례가 있었다"고 상기시켰다.


이어 "이 사안은 그 주체들이 누군가 정치적 이익을 보겠다는 것이 아니라 국민들의 의구심을 풀어드리고 이런 보훈과 안보의 문제에서 이런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일벌백계하자 이런 의미 아니냐"며 "그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치적인 색채와 정치적인 양념들을 다 빼내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원희룡, 나경원, 윤상현 후보가 일제히 자신을 비난한 데 대해선 "그분들의 의견"이라며 "지금의 민심과 지금의 시점, 여기까지 오게 된 과정들을 감안하면 저 정도의 합리적인 대안 제시 없이 이 난국을 종결시키고, 이 논란을 종결시키고 다음 단계로, 다음 건설적인 주제로 정치를 옮겨갈 수 있을 것인가. 저 정도의 합리적인 대안 제시 없이도 그럴 수 있을 것인가.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오히려 순진한 발상 아닐까?"라고 일축했다.



"국민 마음 얻는 것 말고 위기 극복 방법 있나?"




한 후보는 "우리는 108석의 정당이다. 국민의 마음을 얻는 것 말고 우리가 이 위기를 극복할 방법이 있냐"고 반문한 뒤, "저는 국민의 마음을 얻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 최소한의 어떤 몸부림을 국민들께 보여드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들이 '당정 단합'을 주장하는 데 대해서도 "여러 가지 단합, 이런 말들을 많이 하잖나. 뭐 단결해야 된다 좋은 말씀인데 그건 좋은 결과를 내기 위한 방법이지 최종적인 목표가 아니다"라며 "민심과 다른 단결이라는 것이 어떻게 단결일 수 있겠나? 그건 진짜 단결이 아니다. 진짜 단결은 충분한 토론과, 치열한 토론과 논의를 거쳐서 낸 해법, 서로 동의한 해법에 대해서 서로 합심해서 국민들을 설득하는 과정 저는 그것이 진짜 단합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제가 말씀드리는 이 정도의 합리적인 대안으로써, 정면돌파로써 국민들께 선택지를 드리지 않는다면 지금의 국회 구조에서 과연 민주당의 저 이상한 법안이 통과되는 것을 확실히 막을 수 있다고 자신하냐"면서 "제 자신이 그렇게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지금 상황에서는 민심에 반응하는 차원, 그러고 민심의 뜻을 충분히 고려하는 낮은 모습이 필요하고, 그 차원에서 이런 정면으로 돌파하고 논란을 종결시키는 내용의 대안 제시를 한 것"이라고 부연설명했다.


그는 향후 행보에 대해선 "민심이 상당히 명확한 답을 주고 있다"며 "민심이 하라는 게 있고 그러고 하지 말라는 것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우리는 하라는 것 하고 하지 말라는 것 하지 않으면 된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저희는 이번 총선에서 심판받았다. 그런데 보통 이렇게 심판을 하시고 충분히 반성하고 처절하게 변화하기 위해서 몸부림치면 그 심판의 대상이 옮겨가기 마련"이라며 "그런데 저는 아직도 우리 집권당과 정부에 대한 심판모드를 국민들께서 거두고 계시지 않다고 생각한다. 저희가 국민들이 지적하시는 부분을 아프게 받아들이고 국민들 눈치보고 어떻게든 바꿔보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어야 했는데 그런 부분이 부족했다라고 민심이 평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저도 물론 잘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자성했다.


그는 총선 결과와 관련해선 "45%의 지지를 저희가 받았지 않았나? 저는 그 45%가 마른 오징어에 물 짜듯이 정말 우리 지지층들이 나라를 지기키 위해서, 200석의 개헌저지선을 무너뜨려서 나라가 망가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애국심으로 뭉쳐주셨다고 생각한다"며 "이분들 지지가 당연한 게 아니다. 이분들을 위하는 정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고 한 발은 거기에 두지만 다른 한 발은 중도와 청년, 수도권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우리가 모자란 6%를 채울 수가 없다"며 "(그렇지 않으면) 이길 수 없다. 저희는 6%의 마음을 더 얻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야 관계에 대해선 "우리는 전쟁 같은 총선을 치렀고 총선이 끝났다. 이제는 정치를 해야 할 때"라면서 "정치의 상대방으로서 충분히 대화하고 설득해 볼 것이다. 국민을 위해서 좋은 의견을 말씀하신다면 제가 얼마든지 설득을 당해드릴 생각"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issuegate.com/news/view.php?idx=1520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