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안양시는 노후한 명학역과 석수역이 오는 2025년 복합문화시설을 겸비한 최신의 역사로 변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석수역 조감도.  안양시 제공  



역사 시설개선은 한국철도공사가 맡아 추진한다. 

올해 9월까지 실시설계를 완료해 12월 착공할 예정이다. 준공은 3년 후인 2025년이 목표다.

 

석수역은 인근의 안양천·삼성산과 아우러진 석(돌)·수(물)를 형상화 해 조약돌과 곡선 디자인으로 역의 상징성이 표현되고, 휴식문화 공간이 들어선다. 


친환경적 설계와 공간배치로 역사를 찾는 이용객들에게 쾌적함을 선사하는 것도 특징이다. 아울러 두 역사 모두 지금보다 훨씬 편리한 승하차 시설을 갖추게 된다.


명학역은 주거문화기능의 서측과 산업단지 중심인 동측을 자연스럽게 연계시키는 공공광장이 내부에 조성된다. 

지금보다 넓어진 공간에는 북카페와 테라스가 들어서고, 지붕을 겸한 천장은 자연채광과 환기기능을 갖춘다.

 

명학역 조감도. 



지은 지 40여년이 경과된 명학역과 석수역은 시설이 노후하고 공간도 비좁을 뿐 아니라 장애인과 교통약자들 이용하기에 불편하고, 역사를 찾는 주민들에게도 적정공간을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안양시는 두 곳 역사의 시설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한국철도공사와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에 꾸준히 협의 및 제기해왔다.

 한국철도공사는 안양시의 이와 같은 의견을 수렴하는 가운데 2020년 시설개선을 위한 정부예산을 확정, 설계 공모와 당선작 선정을 지난해 10월 마쳤다. 


안양시는 이밖에도 석수역의 신안산선 연계와 관련해 연현마을 주민들을 위한 출입구 신설, 월곶∼판교 복선전철 연계에 따른 안양역 태평로 출입구 설치를 이뤄내고,  GTX-C노선 인덕원역 정차를 사실상 확정 짓는 등 철도교통 편의에 각고의 노력을 펼치고 있다.




추진현황을 보면 2020년 4월 노후역사 신축공사 설계공모를 시행하고 2020년12월 국회의결로 21년도 정부예산 183억원을 확정했다.

이어 한국철도공사는 지난해 7월 노후역사 설계공모 당선작을 선정하고  이어 10월 명학역 및 석수역 리모델링 설계를 착수했다. 

올 9월 설계를 종료하고 올 12월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공사기간은 3년이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issuegate.com/news/view.php?idx=1161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