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그동안 불안에 떨고 상처받은 여성들에게 죄송하다. '여성도 대한민국 국민이다, 성별과 관계없는 국가의 보호를 요청한다'는 국민청원 동의가 약 일주일 만에 40만 명을 넘어선 상황 자체에 경찰 수장으로서 큰 책임감을 느낀다. "

21일 'LIVE 11시50분 청와대입니다' 방송을 통해 방영된 청원 답변에서 이철성 경찰청장이 여성들에게 사과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성별과 관계없는 국가의 보호를 요청한다'는 제목의 국민청원에 대한 답변이자 여성들에 대한 공식 사과였다. 이 청장은 "여성들이 체감하는 불공정이 시정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약속했다.


▲ 이철성 경찰청장.


 앞서 '홍대 누드 크로키 몰카 사건'을 둘러싼 논란은 편파수사 의혹으로 확산되면서 19일 여성 1만 명이 넘게 참여한 시위로도 이어졌다.  이들은 ‘왜 같은 사건 같은 불법촬영임에도 여성유죄 남성무죄’냐고 항변했다.
 이 경찰청장은 "성별에 따라 수사 속도가 달라지지는 않는다"라며 "(그럼에도) 이 청원이 약 일주일 만에 40만 명을 넘어선 데에 큰 책임감을 느낀다, 여성들은 문 밖에 나서는 순간부터 안전에 대한 위험을 느끼는데, 경찰이 충분히 보호하지 못한 셈이다, 불안하고 상처받은 여성분들에게 죄송한 마음"이라고 덧붙였다.
이철성 경찰청장은 "홍대 몰카 사건의 경우, 제한된 공간에 20여 명만 있어 수사가 신속하게 진행됐을 뿐 성별에 따라 수사가 달라진 것은 아니었다"라면서도 "여성이 체감하는 불공정이 시정되도록 각별히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그는 포토라인에 대해서도 '여자라서 포토라인에 세웠다'는 일각의 비판에 대해서도 "경찰이 포토라인에 세운 것이 아니라 영장실질심사를 위해 법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언론에 불가피하게 노출된 것"이라며 "더 세심하게 관리하지 못해 송구하다, 향후 이런 일을 최소화하겠다"라고 설명했다.
정현백 여가부 장관은 "여성들은 강남역 사건 등 사건을 그저 한 여성에게 일어난 불운한 사건으로 보는 게 아니라 '여성'이라는 이유로 안전을 위협당하는 '나'의 문제로 자각하고, 사회적 연대의 움직임을 만들어 가고 있다"라며 "여성들이 안심하고 성별로 인한 차별을 느끼지 않는 날이 올 때까지 정부도 더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강남역 여성 살인 사건 2주기를 맞아 지난17일 서울 강남구 신논현역에서 열린 `시민행동 성차별. 성폭력 4차 끝장집회` 에 모인 참가자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issuegate.com/news/view.php?idx=95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