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어는 강에서 태어나 바다로 나가 성장한 후 새끼를 낳아 기르기 위해 귀향한다. 어미 연어는 알을 낳고 지키고 있다가 새끼가 부화하여 나온 후 먹이를 찾지 못하고 있을 때 어미의 살을 뜯어 먹게 한다.
어미 연어는 극심한 고통을 참아내며 새끼들이 자신의 살을 뜯어 먹도록 한 후 생을 마감한다. 연어는 말없이 세상에 가장 위대한 모성애를 보여 준다. 그래서 연어를 '모성애의 물고기' 라고 한다.
가물치는 알을 낳은 후 바로 눈이 어두워져 먹이를 찾지 못하게 된다. 이때 알에서 부화되어 나온 수천 마리의 새끼들이 어미가 굶어 죽는 것을 그냥 볼 수가 없어 한 마리씩 자진하여 어미의 입으로 들어가 어미의 굶주린 배를 채워 준다고 한다. 이런 새끼들의 희생에 의하여 어미가 눈을 뜰 때쯤에는 남은 새끼가 십분의 일도 안 된다고 한다. 대부분의 새끼들은 어미를 위해 희생 한다고 한다. 그래서 가물치는 '효자의 물고기'라고 한다.
물고기에게도 이 같은 자식에 대한 사랑과 부모에 대한 효심이 있는데 만물의 영장인 인간은 어떠한가. 노인을 학대하는 사람 10명 중에 4명이 자식이라는 통계도 나와 있고 자식을 버리는 부모도 있다고 한다. 자식을 사랑하고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은 윤리의 근본이요 도덕의 대강이다. 인간 공동체를 지탱하는 이 귀한 가치가 붕괴되면 인간은 금수와 다를 바가 없어진다.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부모와 자식을 연결하는 사랑의 고귀한 덕목을 재건해야 한다. 연어와 가물치 교훈을 되새기며 행복하게 살기위한 가장 기본적인 사랑의 터전을 먼저 회복해야 한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춘추필법 정론직필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