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열린 민관정 비대위 모임에서 과천지구동의안 찬성성명서 발표 논의를 한 것과 관련, 과천시 관계자는 27일 “야당의 제안이 먼저 있었다”고 말했다.
본지는 26일 “민관정 비대위서 과천지구동의안 찬성성명서 발표 시도”라는 큰 제목과 “과천시 논의는 했지만 과천시에서 성명서 작성하지는 않아”라는 부제목으로 관련내용을 보도했다.
지난 21일 민관정비대위 점심 겸 회의장면. 사진=과천시청
과천시 관계자는 이날 기자와 만나 “사실 민관정비대위에서 이 성명서를 발표하는 게 어떻겠느냐고 제안한 측은 야당 인사”라며 “김종천 시장이 19일 과천지구동의안 재상정을 요청한 다음날 20일, 야당 인사가 ‘야당이 과천지구동의안 처리를 위해서는 명분이 필요하다. 퇴로를 열어야 한다’면서 성명서를 언급했다”고 전했다.
과천시 관계자는 그러면서 “그가 민관정비대위 고문 A씨를 통해 성명서 초안을 가지고 온 것”이라고 말했다.
A씨는 민관정비대위에 참석 중인 시민단체의 주요인사다.
그러나 그는 “초안이 너무 정치적이어서 A고문과 협의 후 성명서 내용을 고쳤다”며 “이어 하루 뒤 21일 민관정 비대위 점심식사 겸 회의 자리에서 이 성명서를 배포하고 발표 여부를 논의한 것”이라고 했다.
이 과정에서 과천시가 성명서를 인쇄하고 회의 자리에서 배포한 뒤 신희준 소통관이 민관정비대위 대표들에게 설명했다.
그러나 비대위 공동대표인 보광사 종훈주지스님이 “우리는 과천시민광장사수를 위한 비대위인데 과천지구 성명서를 발표하는 것은 모임의 취지에 맞지 않다”고 반대했다.
이어 다른 단체 대표들도 반대했다.
관계자는 “찬성하는 대표보다 반대하는 사람이 많아 성명서를 거둬들였다”고 했다.
과천시 관계자에 따르면 당초 성명서 초안은 “지난 14일 제249회 과천시의회 임시회에서 사업동의안이 부결됐는데 시민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그동안 준비과정의 미비함을 지적하며 부결을 주장한 야당 시의원들의 주장이 일리가 있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
또 “ (과천지구) 사업참여조차 없이 투쟁만으로 가기에는 우리가 짊어져야 할 리스크가 매우 높다. 김종천 시장이 정부와 경기도를 상대로 과천시민의 이익을 위해 싸울 수 있도록 시민들이 기회를 주길 부탁드린다”는 내용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실제로 민관정회의에 제출된 성명서는 “동의안이 통과돼야 과천시가 사업주체가 돼 시민의 이익을 위한 목소리를 낼 수 있다. 만약 그러지 못한다면 과천시는 모든 사항에서 소외될 것이다”며 “과천시는 23% 지분확보 노력과 함께 의회의 지적사항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준비를 해야할 것이다. 의회는 과천의 발전을 위한 대국적 결정을 요청한다”고 돼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전말을 통해 볼 때 야당은 당시만 해도 2차 본회의 동의안 처리 때 가결해주려는 판단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협상모드였던 것이다.
그런 협상모드가 유지되면서 김종천 시장이 24일 페이스북에 “시의원님들께서 제시하신 우려의 의견을 존중한다”는 우호적인 글을 올리기도 했다.
김 시장은 ▲시의원 우려 의견 존중 ▲설명 부족했던 것 충분히 설명할 것 ▲ 준비 부족 충분히 보완할 것 ▲적극적으로 의회와 소통할 것 등 4개항을 올렸다.
하지만 이런 협상 기류는 26일 표결처리 하루 전인 25일 밤 급변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야당에서 구체적인 사실을 공개하지는 않지만, 과천지구 지분참여 방식과 관련해 그동안 과천시 주장과 다른 새 사실을 전해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 너머 이슈를 보는 춘추필법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