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2일 “선관위가 투·개표결과를 조작하는 일은 절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앞서 가로세로연구소 등 일부 유튜브 채널에선 서울·인천·경기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 후보의 사전투표 득표 일정 비율이 63 대 36의 비율로 일정하게 유지됐다며 여권에서 부정선거를 계획하고 실행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선관위는 63 대 36 비율과 관련해 “정당의 득표비율은 유권자의 의사가 반영된 결과로 지역별로 나타난 투표결과의 원인을 설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득표비율만으로 선관위가 사전투표 결과를 조작했다는 어떠한 근거도 될 수 없다”며 “선관위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서울·인천·경기지역 사전투표에서 민주당과 통합당 후보들만으로 계산한 득표비율은 서울 평균 63.95대36.05, 인천 평균 63.43대 36.57, 경기 평균 63.58대 36.42다. 그러나 대구 39.21대 60.79, 경북 33.50대 66.50, 울산 51.85대 48.15 등 지역마다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선거구 전체로 보면 253개 선거구 중에서 17개 선거구(6.7%)만이 63대 36의 비율인 것을 확인했다”며 “또한 지역구 국회의원선거에는 두 정당 외에도 다른 정당추천 후보와 무소속 후보가 참여했다. 이들을 모두 포함한 득표비율은 서울 평균 61.31대 34.55대 4.14, 인천 평균 58.82대 33.91대 7.27, 경기 평균 60.68대 34.76대 4.56”이라고도 했다.
선관위는 부정선거 의혹의 또 다른 축인 민주당과 통합당 후보 각각의 관내사전투표득표율 대비 관외사전투표득표율이 특정 상수로 동일하다는 데 대해서도 일축했다.
선관위는 “해당 선거구에서 단순히 민주당 후보에 투표한 유권자중 관내투표자와 관외투표자의 비율이 통합당 후보에 투표한 유권자중 관내투표자와 관외투표자의 비율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인 것일 뿐”이라며 “전국 253개 선거구 중에서 11개 선거구(4.3%)만이 같은 비율이므로 전국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고도 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부정선거 의혹을 주장하는 이들은 ▲참관인 본인의 서명이 아니라며 투표함이 교체됐다는 주장 ▲선관위 청사 앞에서 훼손된 봉인지가 발견돼 투표함이 바꿔치기 됐다는 주장 ▲투표지 파쇄 주장 등에 대해서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사안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촌철살인 시대 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