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과천시 집값이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아파트값과 연동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30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주간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이달 넷째 주(27일 기준) 강남3구 집값이 소폭 하락했다.
강남구는 전주 대비 –0.03%, 서초구는 –0.04%, 송파구는 –0.04% 변동율을 보였다.
2019년 6월 이후 7개월 연속 오르던 강남3구 아파트값은 올 들어 이달 셋째 주에 하락 전환했다.
한국감정원 발표에 따르면 지난주에 강남구는 –0.02, 서초구는 –0.01, 송파구는 –0.01 하락했다.
과천 아파트값 등락이 강남 3구와 연동해 움직이고 있다.
12·16대책이 나오기 전 급상승했던 과천시도 강남 3구와 마찬가지로 이달 셋째주부터 하락으로 전환했다.
이달 둘째주 0.13 올랐다가 셋째주 –0.02, 넷째주 다시 –0.02 변동율을 기록했다.
과천 부동산 관계자는 "매물이 거의 없고 매매가 안 되고 있다"며 '거래절벽'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보유세 강화와 대출규제 등으로 선뜻 매수에 나서는 사람이 없다"며 "급매물이 소화된 상태여서 매도자들도 가격을 내리지 않고 관망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하고 있다.
한국감정원은 강남 3구 집값 소폭 조정에 대해 “재건축 등 주요 고가 단지뿐 아니라 보합세를 유지하던 단지에서도 일부 집값이 내린 매물 나왔다”고 분석했다.
반면 수원시, 용인시 등 경기권 아파트값은 강남3구, 과천과 별개로 움직이고 있다.
수원팔달은 1월 들어 첫주 0.43, 둘째주 1.02, 셋째주 0.78, 넷째주 0.84 상승했다.
용인수지도 이달 들어 3.07의 변동율을 기록했다.
서울강남3구 아파트값이 이달 셋째주부터 2주 연속 소폭 하락세로 전환됐다고 한국감정원이 30일 발표했다.
서울 전체 집값은 전주 대비 0.02% 상승했다. 12·16대책 이후 0.10%→0.02%로 6주 연속 상승폭이 둔화하고 있다.
수도권 집값은 이달 넷째 주 기준 0.13% 상승했다. 전주(0.12%)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과천 전셋값은 올들어 둘째주까지는 0.18 상승했다. 이후 3,4주 조사에서는 변동율이 0으로 나타났다.
수원 영통구는 전셋값도 1.02%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용인 기흥(0.57%)·수지구(0.29%)는 학군과 교통여건이 양호한 신갈·구갈·풍덕천동 위주로 전셋값이 상승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 너머 이슈를 보는 춘추필법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