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인재 등용문 참여연대
문재인 정부들어 참여연대의 기세는 혈연, 학연, 지연을 뛰어넘었다.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의 외유성 출장 논란이 일파만파로 커지면서 참여연대에 대한 시선이 곱지 않다. 김 원장은 참여연대 창립 멤버이며 김 원장을 인사 검증한 조국 민정수석도 대표적인 참여연대 인사다.
참여연대 청와대와 행정요직에 대거 포진
문재인 정부들어 참여연대는 청와대와 행정부 요직에 대거 기용됐다.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김기식 금융감독원장까지 경제금융 분야를 장악했다. 보유세 개편안을 준비 중인 강병구 재정개혁특별위원장도 참여연대 출신이다. 조국 민정수석과 박은정 국민권익위원장,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 홍일표 선임행정관, 탁현민 행정관도 참여 연대 출신이다.
‘도덕성’과 ‘진보'를 내세웠지만 글쎄요?
참여연대 출신들은 '도덕성'과 ‘진보’라는 코드로 문재인 정부에서 전성시대를 맞았다. 하지만 '도덕성'의 잣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참여연대 출신의 도덕성 논란은 비단 김 원장만이 아니다. 조국 민정수석은 교수 시절 박근혜 정부가 음주운전 경력이 있는 이철성 경찰청장을 임명했을 때 신랄하게 비판했다. 하지만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로 내정된 조대엽의 음주운전 경력이나 탁현민 행정관의 부적절한 여성관, 김상조 위원장의 위장전입, 다운계약서 작성, 가족 부정취업 의혹 등도 문제가 되지 않았다.
이들에게 제기된 의혹들은 과거 참여연대가 낙선·낙천운동의 기준으로 삼았던 것이다. 조 수석이 인사 검증을 담당하면서 참여연대 출신에 대해서는 제 식구 감싸기로 일관하면서 객관적 평가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다. 전형적인 '내로남불'이라는 비판을 면치 못한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친화적 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