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법무장관 후보자에 대한 여론조사에서 ‘장관 부적합’이 ‘장관 적합’의 세 배 가까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KBS가 25일 밝혔다.
한국리서치가 KBS [일요진단 라이브] 의뢰로 22~23일 전국 유권자 1015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48%가 조 후보자의 법무장관 수행은 ‘부적합하다’고 답했다. 반면 적합하다는 응답은 18%에 불과했다.
적합, 부적합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답변은 34%였다. 이 답변은 지난 주 조사에서 적합하다며 찬성했던 사람들이 이동한 가능성이 큰 것으로 풀이 된다. 1주일 전 조사에서 판단보류는 23%였다.
1주일 전 한국리서치 같은 조사에서는 적절 42%, 부적절 36%이었다. 1주일 사이 부적절이 12%포인트 급등하고 적절이 24% 포인트 급락한 것이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일주일간 조 후보자에게 제기된 각종 의혹들, 특히 딸의 논문 및 입시 특혜 의혹이 상당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고 KBS는 밝혔다.
부적합 응답 비율은 전 연령에 걸쳐 적합보다 높았다. (20대: 적합 14 vs 부적합 29 vs 판단 유보 57, 30대: 22 vs 34 vs 44)
조국 후보자에 대해 제기된 주요 의혹 3가지 가운데 가장 해명이 필요한 사안은 무엇인지 물은 결과 자녀의 논문 및 입시 특혜 의혹이라는 답변이 65%로 가장 많았다.
일가족 사모펀드 투자 의혹이라는 답변이 13%로 그 뒤를 이었고, 선친의 사학재단인 웅동학원 채무 관련 가족 간 소송 결과 의혹은 10%로 조사됐다.
고위공직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후보자의 가족에 대한 검증이 이뤄지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검증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70%로 압도적으로 우세했다. 필요하지 않다는 25%에 그쳤다.
일각에서 우려하는 가족 신상털기에 대한 부작용보다는 재산이나 증여, 세금 등 가족 간에 얽혀있는 사안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후보자를 실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순기능이 크다고 본 것으로 해석된다고 KBS가 밝혔다.
이번 여론조사는 휴대전화 등을 활용한 웹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조사요청대비 15.2%, 조사참여 대비 85.9%를 기록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 너머 이슈를 보는 춘추필법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