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노무현청와대 출신 국방부 실세차관 서주석, 광주서 사퇴 요구 확산 - ‘서주석 계륵 같은 신세’ 청와대 선거 앞두고 곤혹
  • 기사등록 2018-04-11 10:12:24
  • 기사수정 2018-04-29 22:10:16
기사수정


서주석 차관의 사퇴를 요구하는 현수막이 국방부 앞에 펼쳐졌다. 서주석 국방차관의 사퇴를 요구하는 광주 5·18 모임 회원 40여 명이 10일 상경시위를 벌인 것이다.
서주석 차관 사퇴압박에 광주의 야당도 가세하며 사태가 커지자 정부는 곤혹스럽다. 특히 지방선거를 앞두고 호남에서 서 차관이 계륵 같은 신세가 되면 전국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자진사퇴 시키면 인사검증 실패 오명을 뒤집어쓴다.


▲ 광주 5월모임이 서주석 국방차관의 사퇴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지난 9일 열고 있다.


5.18 희생자 유족들은 서 차관이 지난 1988년 당시 광주민주화운동 왜곡 보고서를 만든 장본인이며 지금도 이런 사실을 은폐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서주석 차관이 그 자리에 있는 한 제대로 된 5·18 진실 규명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며 "511연구위원회는 5·18 왜곡조직이며, 서주석 차관이 이 조직에 참여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는 점을 확인했다"고 했다.
왜곡을 주도한 것은 육군80위원회고 자신은 거의 관여하지 않았다는 서 차관의 해명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혔다.
1988년 당시 한국국방연구원(KIDA) 소속이었던 서 차관은 노태우 정권이 국회 광주청문회를 앞두고 대응논리 계발을 위해 구성한 511연구위원회에 참여했다.


▲ 광주의 사퇴 요구로 거취가 위태롭게 된 서주석 차관.


서 차관의 참여는 국방부 특조위가 입수한 511위원회 실무위원 명단에서 확인됐다.
특조위 조사결과, 511연구위원회는 자료 왜곡, 폐기 등을 통해 5·18 때 계엄군의 과격 진압 이유를 광주시민에게 전가하고 '발포 명령자는 있지도 않았고 있을 수도 없다'는 논리를 주도적으로 만들었다.
서 차관은“한국국방연구원(KIDA) 입사 3년차였던 내가 어떤 핵심 역할을 할 수 있었겠느냐”고 부인했다. 국방부 쪽은 “서 차관이 511연구위원회의 보고서 작성을 주도한 것은 아니다”고 했다. 사퇴요구를 순순히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입장인 것이다.
서차관은 노무현정부 때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수석, NSC 전략기획실장을 지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issuegate.com/news/view.php?idx=55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