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김기식 갑질’ 의혹 거듭 불거져 일파만파...2야 “파면하라” 총공세 - 청 "실패한 로비일 뿐 내일이나 모레 입장 밝힐 것"
  • 기사등록 2018-04-07 18:55:42
  • 기사수정 2018-04-07 19:17:56
기사수정


김기식 파문이 일파만파다. 야당이 “파면하라”며 총공세를 펴고 있다.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는 7일 “김 원장이 자진사퇴하지 않으면 뇌물성 갑질 외유에 대한 진상조사단을 구성하겠다”고 강공을 예고했다. 한국당은 이날 대변인단을 총동원해 “김기식을 파면하라”고 맹공했다. 바른미래당 하태경 최고위원은 "제2의 김기식이 있는지 국회를 전수조사해야 한다"고 불길을 키웠다.



▲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


현재까지 제기된 ‘김기식 갑질’ 의혹은 크게 봐서 네 가지.

1) 2014년 3월 한국거래소 예산으로 보좌관 대동해 우즈베키스탄 출장.
2) 2015년 5월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예산으로 여성비서관 동행해 미국 유럽 9박10일 출장
3) 2015년 5월 우리은행 지원으로 2박4일간 중국 충칭과 인도 첸나이 방문.
4) 2015년 9월 국정 감사 앞두고 더미래연구소 설립, 피감기관 담당자들 상대로 고액수강료 교육프로그램 진행. 2017년에도 참가비 600만원으로 유지.


야당의 의혹제기에 김 금감원장은 묵묵부답이다. 아직까지 어떤 공식 해명을 하지 않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내일이나 모레 김금감원장이 반박자료를 내거나 직접 해명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갑질사건이 아니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실패한 로비'라고 말했다.

 야당 주장을 일축한 것이다. 그러나 두 야당 공세는 일회성이 아닌 것 같다. 작심하고 덤빈다. 김기식 파문은 4월 국회뿐 아니라 6·13 지방선거에서 최대 이슈가 될 가능성이 있다.


▲ 김기식 신임 금감원장.


김기식 금감원장의 갑질 의혹은 19대 국회에서 새정치민주연합 정무위 간사 시절에 일어나 더 문제가 된다. 더욱이 그는 시민단체 출신이다. 재야 시절부터 국회의원이나 정책연구원들의 로비성 출장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야당은 이를 두고 ‘전형적인 내로남불’이라고 비판한다.
도덕성에서 당시 정무위 여당 간사였던 김용태 자유한국당 의원과 비교된다. 김 의원은 “피감기관 돈으로 정무위원이 해외 출장을 가는 게 부적절하다고 생각해 단박에 거절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issuegate.com/news/view.php?idx=51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