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전문대학교를 포함한 대졸 이상 실업자 수는 1년 전보다 2만9000명(5.0%) 증가한 60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99년 6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대졸 이상 실업자 중에선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다. 올해 1분기 기준 전체 대졸 이상 실업자 수 51만1000명 중 15~29세 청년층이 22만4000명으로 거의 반을 차지했다.
통계 당국은 공무원 시험 접수가 있었던 지난달 실업자로 잡힌 '공시족' 청년층이 유독 많았던 영향이 작용했던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전체 실업자 수 증가 폭 8만4000명 중 5만 명 가까이가 청년층이었다"며 "올해 공시 접수 인원은 37~38만 명으로 작년보다 17만8000명이 많았기에 청년층이 실업자 수와 실업률을 모두 끌어올리는 데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같은 기간 고졸 실업자는 50만2000명이었다. 중졸 이하 실업자는 14만1000명이었는데, 1년 전 대비 증가율이 21.6%로 비교적 높았다.
지난달 대졸 이상 비경제활동인구는 380만4000명에 달했다. 일할 능력은 있으나 일할 의사가 없는 주부, 학생, 심신장애자, 구직 단념자 등이 비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된다.
이 인구는 1999년부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 오다 올해 들어 1월 처음으로 380만 명을 넘어선 후 4개월째 이를 유지하고 있다. 경제활동을 포기하는 고학력 인구가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상황인 것이다.
지난달 실업자 수는 124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8만4000명(7.2%) 증가했다. 4월 기준 통계가 존재하는 2000년 이후부터 따져보면 가장 높은 수준이다.
'투잡(two job)' 희망자와 잠재구직자 등을 합한 청년층 체감 실업률은 역대 최고치인 25.2%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혁신과 글로벌주의의 실현을 위한 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