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3년 부처님오신날인 12일 경북 영천 은해사에서 열린 봉축 법요식에 참석한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불교식 예법을 지키지 않았다. 황 대표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다.
불교방송은 황 대표가 ‘민생투쟁 대장정’ 6일째인 이날 오후 은해사 법요식에 참석했다고 13일 보도했다. 이 방송에 따르면 황 대표는 이날 법요식이 진행되는 내내 합장을 하는 대신 두 손을 가지런히 모은 채 서 있었다.
황 대표는 오전 경북 경산에 있는 한 교회에서 열린 예배에 참석한 후 오후 은해사로 갔다.
방송에 따르면 황 대표는 삼귀의(불교 법회의 시작 기도)와 반야심경 등을 진행할 때에도 목탁 소리에 맞춰 반배도 하지 않았으며, 법요식 마지막 순서로 진행된 아기 부처를 목욕시키는 관불의식 때도 외빈 중 가장 먼저 호명됐으나 손을 저으면서 거절했다.
황 대표는 지난 3월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원행스님을 만난 자리에서도 합장하지 않고 악수로 인사해 불교계 언론의 지적을 받은 바 있다. 황 대표는 이 자리에서 자신이 젊은 시절 마곡사에서 고시공부를 했다고 절과 인연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에 찬반의견이 많이 달렸다. 일부는 “절에 가면 절의 예법을 따라야 한다”거나 “대권을 노리는 정치인답지 않다”고 황 대표의 ‘편협함’을 비판한 반면 “인기를 위해 자신의 종교적 신념에 위배하는 것도 문제”라고 ‘신념’을 지지하는 글도 있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촌철살인 시대 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