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시민정부 꿈 꾸는 김기식 금감원장 과연 개혁적인가? 논란
  • 기사등록 2018-03-31 12:03:03
  • 기사수정 2018-04-29 22:22:05
기사수정

“민주당 의원 시절 금융권 상대 600만원 고액 강좌 운영” 국회 대관업무 종사자 금융권 인사 상대...이해충돌방지 의무 위반 ―

금감원장은 금융기관에 대한 감독권을 가진 '금융 검찰'의 수장으로 지금까진 경제부처 출신이나 금융인이 주로 맡았다. 그러나 문재인정부는 참여연대 활동과 비례대표 민주당 의원을 지낸 김기식(52)을 금융감독원장에 임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금융위원회로부터 김 전 의원을 차기 금감원장으로 제청받고 재가했다. 금감원장은 국회 청문회 없이 대통령이 임명한다.

김 원장은 ‘내가 꿈꾸는 나라’모임의 대표로 있으면서 시민단체 출신이 행정부 장관으로 들어가 시민에 의해 시민을 위한 시민정부를 구성하자고 했다. 이 모임의 공동대표는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인데 자신도 금융감독원장에 임명됨으로써 그의 시민정부 꿈은 반은 이뤄진 셈이다.

▲ 사진=김기식페북


청와대는 김 원장에 대해 "참여연대 출신으로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활동해 개혁성과 전문성을 모두 갖췄다"고 했다.
그러나 김 원장이 민주당 국회의원 시절 자신이 소장인 '더미래연구소'가 지난 3년간 은행·보험사 등 금융기관 대관(對官) 담당자가 참여하는 수백만 원대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해 “과연 김기식이 개혁적이냐”는 논란이 인다. 금융업계를 상대로 고액의 강좌를 운영해온 김 원장이 금융기관을 감독할 경우 이해충돌 회피 법칙의 위반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더미래연구소는 2015년부터 '미래리더아카데미' 회원을 모집 운영했다. 명단엔 상당수가 금융회사나 금융 관련 협회 본부장·부장·팀장급 인사다. 1~3기 회원 55명 가운데 33명이 금융권 종사자였다. 나머지도 대부분 대기업과 로펌 임직원들이다.

이 강좌를 운영해온 곳은 민주당 의원들이 주축인 싱크탱크 '더미래연구소'다. 2014년 출범한 이 연구소는 설립 당시 민주당 현역의원 22명이 참여했다. 김 원장은 이사, 운영위원장, 연구소장 등을 맡으며 설립·운영을 주도했다.

이 연구소는 설립 이듬해인 2015년 '미래리더아카데미' 과정을 개설했다. 민주당 현역의원과 대학 교수들이 강사로 나섰다. 연구소는 강연 소개에서 "수강생과 국회의원 간의 정보·인적교류 및 네트워크를 도모할 수 있다"고 했다. 강의는 서울 여의도 국회 인근의 한 호텔 등에서 매주 1회 2시간씩 총 10번 진행됐다. 강의 참가비는 2015년 1기의 경우 350만원이었고 2016년부터는 해외연수 비용을 포함해 600만원이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참석자는 주로 대관(對官) 업무를 하는 사람이었다"며 "국회를 상대해야 하는 금융회사 입장에서는 결코 거절할 수 없는 요청이었다"고 말했다.

강좌 개설 당시 김 원장은 국회 정무위 소속이었다. 대기업과 금융권을 비판하며 '저격수'라는 별명도 얻었다. 국회 정무위는 대기업을 감시하는 공정위와, 금융 규제 기관인 금융위를 감독한다.
민주당 관계자는 "더미래연구소는 민주당 의원 22명이 1000만원씩 후원해 만들었고, 강좌에 참여한 기업인들도 자발적으로 등록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issuegate.com/news/view.php?idx=44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