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KAIST 신성철 총장 ‘찍어내기’에 급제동이 걸렸다.
14일 열린 KAIST 이사회는 신 총장 직무정지 결정을 유예했다. 신 총장 직무정지 안건에 의견을 표명할 수 있는 9명의 이사 중 정부측 당연직 이사 3명만 직무정지를 해야 한다고 의견을 표명했다. 나머지 선임직 이사 6명은 정부 주장에 제동을 걸었다. 신 총장의 직무정지 건은 다음 이사회에서 심의한다.
KAIST 이사회는 14일 제261차 정기 이사회가 끝난 뒤 "이사회는 한국 과학기술의 긍지인 KAIST가 타 기관의 감사 결과에 의해 국제적 위상이 흔들리고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 현실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공식적인 입장을 발표했다. 과학계 정폐청산 작업에 반발한다는 의미가 담겼다.
이사회는 또 "이번 이사회에서는 최고 지성의 전당인 KAIST의 총장 직무를 정지시키는 것은 매우 신중하게 처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며 "이사회는 보다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직무정지 건은 차기 이사회에서 심의·의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신 총장의 횡령혐의에 대해 검찰에 조사를 의뢰했다. 이사회는 검찰 조사 결과가 나오기 전 직무를 정지하는 것은 과도한 대응이라고 판단했다.
과기정통부는 신 총장이 DGITST 총장 재직 시절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가 무상 제공키로 한 연구장비(XM-1)에 대한 사용료를 송금하고 이 돈이 제자 임모 박사의 인건비 등에 쓰였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신 총장과 LBNL은 문제가 없다며 반박에 나섰고 KAIST 교수들을 비롯한 과학기술계는 정부가 전 정권에서 임명된 신 총장을 퇴임시키기 위해 무리한 감사를 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따뜻하고 바른 사회를 위한 불편부당 시대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