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인드 채용은 경력과 학력 등을 묻지 않는다. 채용 과정에서 학력·출신지역·가족 관계·성별 등을 가리고 실력 위주로 뽑는 게 핵심이다. 정부는 지난해 7월 모든 공공기관에 ‘블라인드 채용’ 도입을 의무화했다. 그런데 이런 블라인드 채용의 부작용이 커지고 있다.
블라인드 채용을 실시하는 것은 지방대생들에게 기회를 더 줘 서울집중을 막는다는 취지도 있었다. 그러나 정반대 결과가 나오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지난해 196개 공공기관 입사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블라인드 채용 도입 후 지방대 출신 비율은 55.6%로 제도 도입 전(57.7%)보다 줄었다. 여성 비율 역시 42.4%로 제도 도입 전(44.9%)에 비해 감소했다.
“똑같은 조건과 출발선에서 실력으로 공정하게 경쟁하면 학력·지역·성별 차별이 줄어들 것”이라던 예상이 빗나간 것이다.
서울교통공사 고용세습 비리 의혹도 블라인드 채용이 그 온상이 되고 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과정에서 108명이 기존 직원의 친인척인 것으로 드러났다.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엊그제 서울시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블라인드 채용이라 채용 과정에서 가족 관계인 것을 알 수 없다”며 “조사를 강제로 할 수도 없다”고 주장했다.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의 한계와 문제점, 부작용에 대해 총체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따뜻하고 바른 사회를 위한 불편부당 시대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