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50대 남성으로 학력 수준과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은 제조업 서비스업 종사자들이 집중적으로 일자리 타격을 받고 있다. 과거에는 30~50대 남성이 일자리를 잃으면 저임금 미숙련 일자리로 옮기거나 자영업 창업을 하는 데 요즘은 다 막혀있다.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곳도 주로 대졸자 이상의 화이트칼러 일자리다. 구조적 개혁 없이는 일자리 충격이 해소되기 어렵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9월 고용률은 61.2%로 전년 동월 대비 0.2%포인트 하락했고, 30~50대 남성 고용률은 90.3%에서 89.4%로 1.0%포인트 떨어졌다.
이 연령대의 취업자수(1099만1000명)를 감안하면 30~50대에서 취업자가 17만9000명 줄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 해당 연령대 인구 감소폭(6만8000명) 두 배의 일자리가 소멸됐다.
30~50대의 실업자 증가 규모는 5만1000명으로 전체 실업자 증가(9만2000명)의 절반 이상이고, 남성 전체 실업자 증가(2만명)를 웃돈다.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감소하기 때문에 취업자가 줄었다는 청와대측 주장은 이 연령대에서는 통하지 않는다는 게 드러난 셈이다. 이 연령대의 취업자 감소분은 인구 감소 두 배 이상이다.
30~50대 여성의 고용률은 63.8%로 전년 동월 대비 0.3%p 올랐다. 이는 일자리를 찾아 노동시장에 나온 30~50대 여성들이 늘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여성 고용률이 늘고 경제활동 참가가 증가한 것은 해당 연령대 남성 취업자가 줄면서 가계 소득을 보전하기 위해 노동시장에 나온 여성이 늘어난 게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따뜻하고 바른 사회를 위한 불편부당 시대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