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문재인 대통령이 내달 5일 대북 특별사절단을 평양에 보내기로 했다. 미·북 간 비핵화·평화체제 구축 논의가 교착된 상황에서 돌파구를 모색하기 위한 행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31일 오후 춘추관 브리핑에서 “오늘 오전 10시30분 우리는 북에 전통문을 보내 9월5일 문재인 대통령의 특사 파견을 제안했다. 전통문을 받은 북은 오후에 특사를 받겠다는 내용의 회신을 보내왔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대북특사는 남북정상회담의 구체적 개최 일정과 남북관계 발전,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정착 등을 폭넓게 협의할 예정”이라며 “남북정상회담은 지난 4차 남북고위급회담에서 9월 안에 평양에서 열기로 합의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하필이면 특사 방북일정이 9·9절을 앞두고 있어 논란이다. 대북특사가 북한 정부수립 70주년 기념일인 9월9일까지 머무를 것인지에 대해 김 대변인은 “9월5일에 들어가는데 9월9일까지 있기에는 좀 멀지 않느냐”고 답했다.
청와대는 누가 특사로 갈 지, 며칠 동안 평양에 머무르며 누구를 만나게 될 지 등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대북특사로는 서훈 국가정보원장 또는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검토된다. 3월 특사 파견 때처럼 김정은 국무위원장 면담이 예상된다.
미국 측은 북한에 비핵화 대상 핵시설 리스트를 먼저 제출하라고 요구하고 있고, 북한측은 미국에 그에 앞서 종전선언이 먼저라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런 교착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9월 중순에 예정된 남북정상회담이 악영향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의 협상진전을 위해 북한에 협상테이블에 머무를 대화 모멘텀을 만들어야 한다는 숙제도 풀어야 한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issuegate.com/news/view.php?idx=177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