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 국내총생산(GDP)의 세계 순위가 한 계단 내려갔다. GDP는 한 나라의 경제 규모를 보여주는 지표다.
반면 1인당 국민총소득(GNI)과 물가를 반영한 1인당 GNI 순위는 14계단 뛰어 31위로 상승했다.
16일 세계은행(WB)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GDP는 1조5천308억달러로 전 세계 12위를 차지했다. 한국보다 밑에 있던 러시아(1조5천775억달러)에게 11위 자리를 내 주었다.
한국 GDP 세계 순위는 2005년 10위까지 올랐으나 2006년 11위, 2007년 13위, 2008년 15위로 밀렸다. 이후 2009∼2013년에는 14위에 머물렀다가 2014년 13위, 2015∼2016년 11위로 올랐다가 지난해 한 계단 떨어졌다.
지난해 GDP 순위 1위 국가는 19조3천906억달러를 기록한 미국이었다.
2위는 중국(12조2천377억달러), 3위 일본(4조8천721억달러), 4위 독일(3조6천774억달러), 5위 영국(2조6천224억달러), 6위 인도(2조5천975억달러), 7위는 프랑스(2조5천825억달러)가 차지했다.
8∼10위는 각각 브라질(2조555억달러), 이탈리아(1조9천348억달러), 캐나다(1조6천530억달러)다.
한 나라 국민의 평균 생활 수준과 관련 깊은 지표인 1인당 GNI에서 한국은 지난해 2만8천380달러로 31위를 차지했다. 2016년 45위에서 14계단이나 껑충 뛰었다.
1인당 GNI 관련 지표 상승에 대해 한은 관계자는 "환율 영향이 있어 보인다"고 설명했다.
1인당 GNI 1위는 영국 자치령인 맨섬(Isle of Man·8만2천650달러)이 차지했다. 조세 회피처라는 특성 때문에 1인당 GNI가 높게 나온 것으로 보인다.
2위는 스위스(8만560달러), 3위는 노르웨이(7만5천990달러)가 따랐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친화적 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