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기도 안산시가 수돗물 불소화 사업을 18년 만에 잠정 중단했다.
안산시는 수돗물 불소화 사업이 시민들의 건강권과 선택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일부 시민들의 지적에 따라 지난 2일부터 정수장 불소 투입을 잠정 중단했다고 밝혔다.
조만간 전문가·시민대표 간담회, 여론조사 등을 거쳐 불소화 사업 지속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안산시는 2000년부터 정수장에 불소 첨가시설을 설치해 운영해 왔다.
안산지역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수돗물 불소화 중단 촉구 시민모임은 "불소는 유해화학물질이어서 수돗물 불소화 사업을 중단하는 지자체가 늘고 있는데 안산시는 이를 지속하고 있다"며 중단을 요구했다.
수돗물에 불소를 (원소 기호 f) 넣는 사업을 수돗물 불소화 사업이라고 한다. 줄여서 흔히 수불사업이라고도 한다.
수돗물 불소화 사업은 1945년 미국 일부 주에서 시작되었고 미국과 영국 등 60여 개국에서 시행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충치를 가장 확실하게 예방하는 방법으로 적극 권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80년에 상수도불소 주입에 관한 규정을 제정했고, 1981년 경남 진해와 청주를 시작으로 1994년 과천을 비롯한 전국에 확대 실시하였다. 하지만 수돗물 불소화를 놓고 안전성 논란이 끊임없이 제기되자 청주가 2004년 21년 만에 수돗물 불소화를 중단했고 과천(2003년), 포항(2003년)도 사업을 중단하였다.
수불사업 찬성론자들은"충치 예방효과가 탁월하니 다소 논란이 있더라도 해야 한다" 고 주장한다. 반대론자들은 " 필요한 사람은 치과에 가서 불소도포를 하면 되지 음용수에 불소(화학약품)를 넣는 것은 사실상 강제 의료행위"라고 반박하고 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친화적 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