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내장지방 수치가 남성(134.6㎠), 여성(91.1㎠) 허리둘레수치로 남자 88㎝(34.65인치), 여자 81㎝(31.89인치)를 넘으면 각종 비만 관련 질환에 걸릴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가정의학과 오승원 교수팀은 2007~2015년 강남센터에서 복부 CT검사를 한 성인 3만6783명의 내장지방 단면적자료를 분석하여 한국인의 기준치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고혈압, 고혈당, 고중성지방혈증, 저고밀도콜레스테롤(HDL)혈증 등 4가지 대사질환 중 2가지 이상에서 위험을 높이는 내장지방 기준치를 조사했다. 4가지 대사질환은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에 해당하며 심혈관질환과 뇌졸중 위험을 높이는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
비만은 각종 질환의 원인이며 삶의 질을 낮추기도 한다. 특히 비만으로 인한 내장지방이 문제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에게 특화된 내장지방 기준치가 없었다.
이를 고려한 오승원 교수팀의 연구결과, 대사질환위험도가 높아지는 국내 내장지방 기준치는 남성 134.6㎠, 여성 91.1㎠였다. 허리둘레수치로 보면 남자 88㎝, 여자 81㎝가 적정기준치이다. 참고로 그동안 아시아인에 통용되는 내장지방면적 기준치는 없었고 허리둘레 기준치는 나라마다 차이가 있지만 남성 90cm, 여성 80~85cm 정도였다.
오승원 교수는 “기존에 쓰이던 기준치는 지나치게 낮았다”며 “우리나라 사람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를 통해 적절한 복부내장지방 기준을 확인했다”면서 “기존에 흔히 쓰이던 기준은 남성 100㎠, 여성 70㎠였지만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기준이 지나치게 낮았던 것을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오승원 교수는 “이번 연구는 처음으로 대규모 한국인 데이터로 적절한 내장지방 기준을 확인한 연구라는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친화적 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