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문재인 대통령이 최저임금제 인상과 관련해 영세자영업자·소상공인 보호를 위한 보완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16일 편의점주들은 최저임금이 지역별, 업종별 차등 적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아르바이트생의 인건비를 깎자는 게 아니다. 정부와 본사가 대책을 마련해달라” 고 촉구했다.
편의점주들로 구성된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이하 전편협)는 16일 서울 성북구 전편협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5인 미만사업장에 대한 업종별, 지역별 최저임금 차등적용 △개별 가맹 본부의 가맹수수료 인하 △근접 출점으로 인한 생존권 파괴 중단 △세금에 대한 카드수수료 제외 등을 요구했다.
 편의점주들은 내년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10.9% 인상된 8350원으로 결정되자 인건비 상승을 감당할 수 없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편의점주들을 대변하는 전편협은 “개별소비세와 국민건강증진부담금이 붙는 담배처럼 세금이 가격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물건을 팔 때에는 카드수수료를 정부가 내달라”고 했다. 가맹본부 측에는 가맹수수료를 낮춰주고 가까운 거리에 매장들을 내는 근접 출점을 멈춰달라고 요구했다.
계상혁 회장은 “아르바이트생들의 인건비를 깎자고 주장하는 게 아니다”라며 “을과 을의 전쟁이 되는 것을 결코 원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정부와 본사에 대안·대책을 마련해달라고 공을 넘기는 것”이라며 “야간영업으로 흑자를 보는 편의점은 전체 편의점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고 했다.
강경노선에서는 한 발 물러섰다. 동맹휴업이나 심야 영업 중단과 심야 가격 할증 등 단체행동은 일방적으로 진행하지 않겠다고 했다. 전편협 관계자는 "정부와 본사에 실질적인 대책을 요구한 만큼 대안을 신중하게 검토한 후 단체행동을 진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전편협에는 편의점 CU(씨유)와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등 전국 4천∼5천여 개 편의점 점주들이 가입해 있다.


▲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 각 지부 대표들이 16일 성명서를 낭독하고 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issuegate.com/news/view.php?idx=143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