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가 젊어졌다. 40세의 회장이 LG의 키를 잡았다. 구광모 신임 회장은 선친인 고(故) 구본무 전 회장의 양자다. LG는 '장자 승계 원칙'을 지킨다. 두 딸이 있지만 구 전 회장은 동생의 아들을 양자로 입적했다. 구 전회장의 갑작스러운 별세로 구광모는 상무 사업부장에서 곧장 회장으로 올랐다. 내야하는 상속세는 1조원 정도로 추정된다.
지주회사인 ㈜LG는 임시 주주총회 이후 열린 이사회에서 구광모 LG전자 ID(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사업부장(상무)을 ㈜LG 대표이사 회장으로 선임했다고 29일 밝혔다.
구 회장은 2006년 LG전자 재경부문 대리로 입사해 경영수업을 받은 지 12년째다. 입사 후 20년간 경영수업을 받은 뒤 그룹 회장을 맡았던 구자경 LG 명예회장과 고 구본무 전 LG 회장에 비하면 짧은 기간이다.
㈜LG는 구광모 대표이사 회장을 선임함에 따라 현재 대표이사 겸 최고운영책임자(COO)인 하현회 부회장과 함께 복수 대표이사 체제로 운영된다.
구본준 ㈜LG 부회장은 경영일선에서 물러나고 연말 임원인사에서 퇴임할 예정이다.
LG는 전문 경영인 중심의 책임 경영체제로 작동한다. 경영경험이 짧은 구 상무가 본격적으로 4세 경영에 나서더라도 당장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구 회장을 중심으로 ▲하현회 ㈜LG 부회장 ▲조성진 LG전자 부회장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부회장 ▲차석용 LG생활건강 부회장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 ▲박진수 LG화학 부회장 등 6명의 전문경영인이 보필할 것이라는 게 업계 안팎의 예상이다.
구 회장은 이날 이사회 인사말을 통해 "그동안 LG가 쌓아온 고객가치 창조, 인간존중, 정도경영 이라는 자산을 계승·발전시키겠다"며 "변화가 필요한 부분은 개선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성장기반을 구축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따뜻하고 바른 사회를 위한 불편부당 시대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