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은 걷고 싶은 명소 길이 많다.
하지만 재건축하면서 키 큰 가로수들을 다 뽑아버리고 애기 나무들을 심어 시민들 사이에 뒷말이 흘러나오고 있다.
힐스테이트 과천중앙 오피스텔 공사장 앞 가로수가 말라 비틀어지거나 뽑혀나가 황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슈게이트
요즘의 공사장 주변과 대비되는 이전의 걷고싶은 관문로 은행나무길.
과천시 중앙동 오피스텔 힐스테이트 과천중앙이 공사를 마무리하면서 펜스를 걷어내고 조경을 하고 있다.
한 시민은 “관문로는 은행나무와 단풍나무가 한국의 아름다운 길 중 하나인데 정문 앞 주변에 있던 나무들을 뽑아버렸다”고 속상해했다.
그는 “이중으로 심어 놓은 나무 중 찻길쪽 나무는 경관을 살려야 하는데 다 망가뜨려놨다”면서 아쉬움을 나타냈다. 공사를 위해 뽑았다면 원상복구를 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공사에 걸리적거려서인지 교동길 오피스텔쪽 나무는 큰 가지를 훼손해 놓은 곳이 다수 있다.
아름드리 자란 나무들을 뽑는 대신 심어 놓은 나무들은 허벅지 높이 정도의 꼬챙이 나무여서 실망감을 키우고 있다.
힐스테이트 중앙 소공원. 키 큰 나무를 뽑아버리고 키작은 나무를 심어놓았다. 독자제공
힐스테이트 중앙 앞쪽 상업지구 앞에는 시민들의 휴식처인 소공원이 있다.
소공원 앞쪽 울창한 나무들을 다 베어버리고 대신 심은 나무는 에메랄드 그린과 꼬챙이같은 나무들이라는 것이다.
한 시민은 공원녹지과에서 뽑은 나무에 걸맞은 나무를 심도록 관리감독을 해야 되는데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과천 관내 재건축 단지들도 마찬가지다. 단지 내 정원에는 아름드리나무를 심어놓고 가로수는 애기나무를 심어 놓은 곳이 많다.
게다가 이중 가로수였던 것을 한 줄은 없애고 한 줄만 심어 삭막해졌으며, 녹음이 우거진 거리가 되려면 수 십 년의 세월이 필요해 보인다.
가로수가 고사했는데도 새로 심지 않고 그대로 둔 곳도 있다.
과천시가 재건축하는 단지들의 가로수에 대해 엄격하게 관리감독을 해 주기를 시민들은 바라고 있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친화적 정론지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