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24일 경기도 양주 덕정과 수원을 잇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C) 노선에 왕십리·인덕원·의왕·상록수역 등 4개 역을 추가하기로 했다.
이로써 GTX-C 노선의 정차역은 모두 14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대선을 목전에 두고 이 같은 사실을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데 대해 표심을 노린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국토교통부는 24일 대선을 눈앞에 둔 시점에서 금정과 정부과천청사역 사이 인덕원역, 이어 금정과 수원사이 의왕역 등 4개역을 GTX-C 노선 추가정차역으로 실시협약에 반영했다고 밝혔다.
원래 창동·광운대·청량리·삼성·양재·정부과천청사 등 10개 역으로 계획됐는데 지난해 6월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당시 왕십리역과 인덕원역을 추가 정차역으로 제안했다.
이후 사업자 측은 지자체 협의를 거쳐 작년 8월 의왕역, 12월엔 상록수역까지 총 4개 역을 추가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보도자료에서 "GTX-C 노선의 우선협상대상자가 지자체와 긴밀한 논의를 거쳐 제안한 4개 추가역(왕십리·인덕원·의왕·상록수역)에 대해 우선협상대상자의 민자적격성조사 결과 적격성이 확보돼 지난 1월 실시협약에 반영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실시협약은 향후 한국개발연구원(KDI) 검토 및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확정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들 역은 의왕시와 안양시, 안산시 등 지방자치단체가 GTX-C 사업 논의 과정에서 강력하게 신설을 요구한 것이다.
대선 앞두고 추가정차역 4개 발표...대선 앞두고 선거개입 논란도
지금까지 역 추가와 관련해 공식적인 발언을 아끼던 정부가 대선을 앞두고 이런 입장을 밝힌 것을 두고 '표심 얻기' '대선에 영향을 끼치려는 의도'라는 지적이 나온다.
국토부는 "그동안 여러 차례 얘기가 나오면서 어느 정도 다 알려진 내용이다. 정부가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업자가 지자체 협의를 거쳐 제안하는 것이므로 정치적 일정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도봉산역∼창동역 구간 지상화, 은마아파트 지하관통 갈등으로 추진 일정 지체 불가피
정부는 작년 6월 GTX-C 노선 우선협상대상자로 현대건설 컨소시엄을 선정한 후 올해 상반기 실시협약 체결을 목표로 협상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C노선의 '창동역~도봉산역' 구간이 지하화에서 지상화로 변경되며 논란이 커지면서 사업 연기가 불가피해졌다.
국토부는 GTX-C 추진 일정과 관련, 3월에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민투심)에 올리려 했지만 창동주민들의 반발 등으로 일정을 연기했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지하 관통문제도 논란이다.
국토부는 지역주민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3월 중 주민설명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이 자리에서 사업계획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주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실시협약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 너머 이슈를 보는 춘추필법 이슈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