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성대 약대교수시절 4000만원 받고 '인보사' "경제성 높다" 평가…윤소하 의원 의혹제기..이 처장 "사명감 가지고 수행한 연구보고서" 반박


 



“혹시 식약처가 초기에 대응이 늦었던 이유, 국회로의 자료요구 등 협조도 잘 이루어지지 못했던 이유, 인보사의 허가 취소까지 두 달이 넘게 지연됐던 이유가 식약처장이 인보사와 직접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라는 합리적 의심을 해볼 수 있지 않아요?”

윤소하 정의당 의원은 12일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의경 식약처장(57)을 상대로 이와 같은 의혹을 제기했다.


이 처장은 과거 성균관대 약대 교수 시절 4000만 원의 용역비를 받고 코오롱생명과학의 ‘인보사’ 급여 등재를 위한 ‘경제성평가 보고서’ 작성을 담당했던 것이 드러나 파장이 커지고 있다. 당시 이의경 처장은 인보사의 경제성을 높게 평가하며 '급여처리가 적합하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보고서는 코오롱생명과학이 연구용역 발주에 따라 이의경 처장이 2017년 12월경 작성한 ‘인보사 경제성평가 보고서’로, 코오롱생명과학은 이 보고서를 지난해 8월 심평원 측에 제출했다.



2015년부터 성균관대 약대 교수로 재직하던 이 처장은 2017년 인보사 경제성평가 보고서를 작성한 이후 올해 3월 식약처장에 임명됐다. 그가 임명된 지 20여일 만에 ‘인보사 사태’가 발생하며 늑장대응 비판이 일기도 했다.


윤 의원이 공개한 이 처장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이의경 식약처장이 작성자로 표기된 '인보사 경제성 평가 연구' 보고서에는 "통증 및 기능 개선의 임상적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됐기 때문에 인보사 도입은 새로운 치료 대안", "인보사는 중증도 무릎 골관절염에 효과가 있으며 대체할 수 있는 약제가 없다" 등의 내용이 담겼다.

윤 의원은 "이런 용역 보고서를 작성한 사람이 인보사 사태를 수습하는 책임자가 된 것이 객관적으로 보이겠냐"며 "이 처장은 인보사 사태에 공조한 직접적 책임자"라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이의경 처장을 대상으로 검찰 수사와 별개로 감사원 감사가 필요한 부분”이라며 “부당 개입이 있다면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의경 처장은 이에 "이 연구는 인보사 사태 이전 수행한 것으로 전문가가 적은 상황에서 사명감을 가지고 했다"며 "식약처 허가 내용이 진실이라는 것이 전제조건이고, 문제가 있다면 처장을 사퇴할 의향도 있다"고 의혹을 강하게 부인했다.



‘인보사 사태 해결과 의약품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시민대책위원회’는 이날 논평을 내고 이 처장의 사퇴를 압박했다. 

시민대책위는 "이의경 처장은 인보사 사태 진실 규명의 지휘자가 아니라 수사 대상의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며, 스스로 식약처장 자리에서 사퇴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시민대책위에 따르면 이의경 식약처장은 'JW중외제약'과 '유유제약' 사외이사 경력으로 구설수에 올랐을 뿐 아니라, 제약회사로부터 최근 3년 동안 43건의 35억 원에 이르는 연구용역을 수행했다고 한다. 따라서 제약회사를 견제하고 규제하여 국민 건강을 지킬 인물로는 부적합하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이슈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issuegate.com/news/view.php?idx=547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Warning: include_once(../news/side_banner_menu.php):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issuegate.com/www/skin/news/basic/view.skin.php on line 394 Warning: include_once(): Failed opening '../news/side_banner_menu.php' for inclusion (include_path='.:/usr/share/pear:/usr/share/php') in /home/issuegate.com/www/skin/news/basic/view.skin.php on line 39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